경북 안동시가 시(市) 승격 60주년을 맞아 올해를 원년으로 '위기를 기회로, 기회를 현실로'라는 새로운 각오를 다지고 있다.
1963년 안동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안동시와 안동군은 행정구역이 분리됐다가, 1995년 시·군통합으로 주민들의 생활권과 행정권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개발·투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당시 시군 세대의 높은 참여율로 87.2%가 통합에 찬성해 안동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옥동과 강남동 택지개발로 도시공간이 확장되고, 강변은 수변공원조성과 함께 왕복 6차로 도로가 시원하게 뚫렸다. 경북도청이 이전하고 KTX와 고속도로 준공으로 이동권의 제약이 없어졌다. 각종 산업단지가 생기며 굵직한 대기업도 둥지를 틀었다.

승격 직전인 1962년 말 안동군의 예산은 4천672만원 남짓했다. 지금은 1조8천900억 원으로 물가 상승(당시 쌀 80㎏ 한가마가 3천원)을 감안해도 500~600배나 껑충 뛰었다.
하지만 인구감소는 심각하다. 1963년 1월1일 승격 당시 24만2천43명에 이르렀지만, 베이비 붐 영향으로 1974년 27만188명을 정점으로 급격한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연령대별 인구분포에서도 저출산, 고령화의 추세가 확연히 드러난다. 승격 당시 9세 이하 인구는 7만9천978명으로 전체 인구의 33%를 차지하고 60세 이상 인구는 1만4천620명으로 6%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금은 9세 이하 인구가 9천186명으로 전체 인구의 5.9%에 그치는 반면, 60세 이상은 5만6천27명으로 36%를 차지해 승격 당시와 상황이 역전됐다.

2개 댐 건설로 방대한 토지(안동댐 56.8k㎡, 임하댐 28.7k㎡)가 수몰되고 3만여 명의 이주민이 발생했다. 또, 안동시 면적의 15.2%가 넘는 231.192k㎡가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지정돼 주민의 생활권과 재산권이 침해되고 변변한 산업단지, 관광시설의 개발도 가로막히게 됐다.
안동시는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 지방소멸과 도심공동화를 극복하고 지역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역점사업인 안동·예천 행정통합, 안동·대구 광역상수도망 구축, 수자원과 폐철도활용 관광 인프라 구축 등 역점사업 추진에 나설 계획이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안동·임하댐의 풍부한 수자원을 활용한 물 산업 육성으로 댐의 경제적 가치를 되찾아 시민들에게 돌려줄 것"이라고 전했다.
또 "경북도청 이전을 마중물로 안동·예천이 힘을 모아 경북의 신성장거점도시는 물론, 인구 30만의 자족도시로 도약할 토대가 마련됐다"며 "시 승격 60주년을 원년으로 미래 100년 안동 발전의 대전환점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