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고심하고 있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시점은 설 연휴 이후가 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정부는 코로나19 유행이 정점을 지나 안정된 상황이라고 평가하면서도, 해외 상황을 고려해 시간을 좀 더 두고 지켜본다는 방침이다.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16일 최근 코로나19 상황에 대해 "최근 들어 눈에 띄게 유행 추세가 완화되고 있다"며 "지난 1주일 간 확진자 수는 30만 명으로, 2주 전인 1월 1주 41만 명 대비 약 27% 감소했고, 주간 사망자는 400명에서 356명으로 약 11% 감소,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도 530명에서 440명으로 약 17%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정 단장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과 관련해서는 "마스크를 다 벗는 때가 멀지 않았다"면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한다고 해서 급격하게 유행이 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정 시점에 대해 "설 전에 어떤 정책을 발표하든, 설 이후에 시기를 못 박든 간에 이미 시기는 거의 다 됐다"며 "그걸로 인해 사회가 갑자기 해이해지는 일은 없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내다봤다.
정 단장은 "해외 요인이 없다면 마스크 의무 해제는 다음 단계로 내려가도 된다고 보고 있다"면서도 "국내 여건은 오늘 당장 만족이 됐다 하더라도 해외 요인들 때문에 시간을 조금 더 보면서 결정을 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기분 좋게 설 전에 (마스크 의무를 해제)하면 좋을 수도 있겠지만, 방역 정책은 영웅적인 결정, 결단을 요하는 분야는 아니다"며 "가장 안전한 것이 가장 무난하기도 하고, 사람의 생명을 하나라도 더 보호할 수 있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다.
국내에서 설 연휴 때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코로나가 다시 확산세로 돌아설 가능성은 적다고 봤다. 정 위원장은 "설 연휴 방역대책은 정부 발표를 보면 충분하다"며 "설 연휴 때는 식당이나 카페, 술집이 다 문을 닫는다. 명절로 인한 대규모 전파는 크게 염려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고위험군의 면역력이 낮은 점을 우려하면서 신속한 백신 접종을 당부했다. 정 단장은 "향후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조정할 경우 마스크를 계속 착용하는 상황보다는 아무래도 감염이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며 "그렇게 되면 고위험군은 현재보다 좀 더 많은 위험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고위험군에 속하는 고령층, 특히 60대 초반, 면역저하자, 감염취약시설 이용자 및 종사자, 만성질환 보유자들은 한시라도 빨리 개량백신을 접종해 면역력을 갖추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