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지역 기업들이 올해는 인재를 지난해보다 적게 뽑을 계획이다.
포항상공회의소가 1월 25일부터 2주간 포항지역 66개사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지역기업 인력채용 실태조사 결과, 지역기업 60.6%가 채용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지난해 68.5%보다 7.9% 줄어든 수치다
기업들이 신규인력을 뽑는 이유로는 퇴사 등 자연인력 감소에 따른 충원 66%, 인원부족25% 등으로 나타났다. 회사성장의 요인이 되는 신규사업 진출이나 경기호전을 예상한 설비 확충 등에 따른 채용은 9%에 불과했다.
채용시기는 수시(53.5%) 혹은 1분기(39.3%)가 가장 많았다. 근로형태는 정규직이 77.8%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기업들은 채용계획 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경영실적(56.5%)과 인건비 부담(22.6%), 대내외 경기변동(16.1%) 등을 꼽았다.
채용방법은 구인광고를 이용하는 경우가 75.8%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임직원 추천제와 인턴제도 등도 일부 있었다.
우수인력 확보를 위해 실현돼야 할 부분에 대해, 기업의 55.5%가 고용안정성을 들었다. 뒤이어 기업비전(18.8%), 보수(11.6%), 복리후생(7.2%), 자기개발 기회제공(5.8%), 근무개선(1.4%) 등 순으로 집계됐다.
뽑고는 싶지만 지원하는 인력이 없어 애를 태우는 기업들도 66.7%에 달했다. 이유로는 일자리 인식변화와 낮은 임금수준이 각각 28.8%를 차지했고, 열악한 근로환경(20.3%), 출퇴근 불편(10.2%), 불안한 조직미래(6.8%) 등이 뒤를 이었다.
직원들의 이직도 고민스러운 문제로 인식됐다. 기업들은 이직을 막기 위해 근무환경 개선(35.4%)과 경영진과의 대화(22.8%), 금전보상(21.5%) 등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직원복지의 가장 기본으로 꼽히는 통근버스는 단 6.3%의 기업들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포항상의 관계자는 "올해 기업 채용규모는 지난해보다 좋진 않지만 고용의 질은 다소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며 "철강공단을 중심으로 채용이 더 활발해지길 기대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