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계가 금융권의 대출 금리 인하 등 상생안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코로나19 여파가 가시지 않은 가운데 지난해 고(高)금리 대출을 사용하는 중소기업이 폭증했고, 고물가·고환율까지 겹치는 소위 '3고' 현상이 지속하면서 폐업 위기에 내몰렸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중기 고금리 대출 비중 83.8% 기록…전년보다 9.6배 폭등
20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취급액 기준으로 금리 5% 이상의 고금리를 사용한 중소기업은 28.8%에 달했다. 지난 2013년 38.0%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로, 2021년(3.0%)보다는 9.6배 폭등했다.
특히 지난해 1월에는 5.4%에 불과했지만, 기준금리 인상으로 11월엔 83.8%까지 치솟았다. 이같은 증가폭은 금융위기가 불어닥친 2008년 12월(92.3%) 이후 14년 만에 최고치다. 이에 반해 3% 미만의 저금리 대출 비중은 2021년 60.9%에서 지난해 11.9%로 뚝 떨어졌다.
같은 경제 환경에서 사업을 하지만 중소기업의 이자 부담은 대기업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고금리를 사용하는 대기업 비중은 18.9%로 전년(3.0%)보다 6.3배 늘어나는게 그쳤으나 같은 기간 중소기업의 고금리 대출 비중은 9.6배로 폭증한 것으로 집계됐기 때문이다.
중소기업단체협의회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자금 확보가 더 어려운 상황임에도 이자비용 부담은 더 확대되는 등 경제적 고통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이라고 우려했다.
◆고금리에 허덕이는 중소기업계 "같이 살자" 한 목소리
20일 중소기업단체협의회는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고금리 고통 분담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을 비롯해 ▷오세희 소상공인연합회장 ▷조인호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장 ▷이정한 한국여성경제인협회장 ▷김분희 한국여성벤처협회장 ▷석용찬 한국경영혁신중소기업협회장 등 중소기업단체 대표 9명이 참석했다
중소기업단체협의회는 성명을 통해 "고금리로 힘들어하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금융권이 고통 분담에 적극 나서달라"며 "금융권은 IMF 외환위기 때 대규모 공적자금 투입으로 부도 위기를 극복한 바 있다. 지금이야말로 사회적 책임을 다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중소기업단체협의회는 ▷금융권은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금리 즉시 인하 ▷금리부담 완화 제도의 실효성 제고 ▷중소기업·소상공인과 상생할 수 있는 금융문화 조성위한 상생금융지수 신설 등을 요구했다.
◆10명 중 9명은 '고금리'가 최대적(敵)
이날 기자회견에선 중기중앙회가 지난 15일~17일 중소기업·소상공인 300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고금리 관련 중소기업 금융애로 조사결과'도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85.7%를 차지한 '높은 대출금리'가 금융기관 대출 시 가장 큰 애로 사항으로 집계돼 대부분의 중소기업이 높은 금리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금 인상분은 지난해 1월(2.9%)과 비교해 이달 5.6%로 2.7%포인트(p) 상승했다고 답했다. 이는 기준금리 인상 폭 2.25%p(1.25%→3.5%)보다 높았다.
조사 대상기업 90.3%은 '대출금리 상승에 대응 방안이 없거나 불충분하다'며 정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특히 은행이 이자수익을 통해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낸 성과에 대해 부정적 의견이 79.3%에 달했다. 그 이유로는 '과도한 예대마진 수익(62.2%)'과 '과도한 퇴직금 및 성과금 지급(22.7%)'을 꼽았다.
고금리 부담 완화 및 금융권 상생 금융 문화 정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대책으로는 ▷은행의 기준금리 이상 대출금리 인상 자제(73.7%) ▷이차보전 지원사업 등 금리 부담 완화 정책 확대(45.7%) ▷저금리 대환대출·금리인하 요구권 등 실효성 제고(35.7%) ▷상생금융평가지수·기금조성 등 상생 정책 활성화(20.7%) 순으로 나타났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우리나라 은행도 미국이나 유럽 등 주요국처럼 기업 직접 투자를 허용해 은행도 살고 기업도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