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은, 오늘 기준금리 발표…'경기침체'로 동결 가능성

'최종금리 3.50%' 못 박지 않고 추가인상 여지 남길 듯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1.7%→1.5∼1.6% 하향 유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월 1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월 1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3일 오전 9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의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경기 침체 우려로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날 기준금리가 3.50%로 유지되면, 연속 인상 기록은 일곱 차례(작년 4·5·7·8·10·11월, 올해 1월)로 마감된다.

시장과 전문가들이 불안한 경기 상황때문에 동결을 점치고 있다.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분기 대비)은 수출 부진 등에 이미 지난해 4분기 마이너스(-0.4%)로 돌아섰고, 심지어 올해 1분기까지 역성장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2월 1∼2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335억4천900만달러)도 작년 같은 달보다 2.3% 적어 이 추세대로라면 이달까지 5개월 연속 감소(전년동월대비)가 우려된다.

수출 감소, 물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90.2) 역시 1월(90.7)보다 0.5포인트 떨어졌다.

다만 이날 기준금리가 동결된다 해도, 이것이 이번 금리 인상기의 최종금리일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에 이르고,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Fed)가 3월과 5월 최소 두 차례의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밟을 가능성이 큰 만큼 추가 인상 여지가 남아있다.

이날 기준금리가 동결되면 미국과의 격차는 일단 1.25%포인트(한국 3.50%·미국 4.50∼4.75%)로 유지된다.

한은은 이날 수정 경제 전망도 내놓는다.

다수 전문가는 한은이 수출 감소와 내수 둔화 등을 고려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로 1.5∼1.6%를 제시할 것으로 예상했다. 기존 1.7%(2022년 11월 전망치)보다 0.1∼0.2%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