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 환경 오염을 줄이기 위한 기술이 또 다른 환경 오염원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1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만난 박진영 티아 대표는 "기업들이 친환경 산업 생태계를 만드는 데 일조하기 위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광촉매 필터를 앞다퉈 제작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티아는 지난 2022년 6월 DGIST 학생 창업팀으로 시작해 한국가스공사의 에너지 분야 아이디어론 '최우수상'(사장상)과 과학기술정부통신부 대구경북창업경진대회 '대상'(장관상) 등 각종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이번 C-Lab 아웃사이드 대구에 입주하기 전 지난해 공공기술 기반 시장 연계 창업 탐색 지원 사업인 '한국형 아이코어(I-Corps)에 선정되기도 했다.
티아는 현재 티타늄산화물을 활용해 질소산화물을 질소와 물로 분리 배출하는 고효율 배기가스 저감장치(SRC) 원통형 필터를 개발했다. 티아가 SRC를 원통형으로 만들게 된 건 공기 순환에 유리해 황산화물 등 슬러지가 쉽게 쌓이지 않아 수명이 길다는 장점 때문이다. 아울러 촉매 활성 면적도 최대화할 수 있어 비용또한 저렴하다는게 박 대표의 설명이다.
티아는 대구 지역 섬유 관련 중소기업에서 나아가 석탄 화력발전소, 제철소, 시멘트, 석유화학 업종 등 대규모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에도 진출하겠다는 포부를 갖고 있다.
김 대표는 "슬러지가 쌓이지 않다 보니 3~4개월마다 교체해야 하는 기존 필터와 달리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며 "환경, 비용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을 수 있는 제품을 널리 보급하고 싶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현재 개발 중인 차량용 공기 살균기 보급에도 힘을 쏟고 있다. 이 제품은 자가용이나 중기계, 대중교통 등에서 손쉽게 사용 가능한 제품이다. 차량에서 확산할 수 있는 다양한 바이러스·세균, 에어컨 악취, 담배 냄새, 내부 마감재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등을 살균 및 분해 제거한다.
박 대표는 "현재 사용되는 공기살균을 위한 광촉매는 태양 빛의 8%에 불과한 자외선 영역을 사용해 효율이 다소 낮다"며 "하지만 후속 제품으로 8월에 출시할 퀀텀닷을 이용한 공기살균기의 경우 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60~70%의 태양 빛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