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한국 주도의 '강제징용' 배상 해법을 제시하면서 '욕을 먹더라도' 한일관계를 복원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매일신문 6일 자 1면 보도)과 관련, 실제로 "모든 책임은 내게 있다"고 밝힌 것으로 7일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전날 참모들과의 회의에서 "대통령으로서 수행해야 할 외교와 안보, 국방, 이 모든 정책의 책임은 내게 있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정부가 전날 발표한 배상 해법이 '일본에게 백기투항한 것과 다름 없다'는 비판과 함께 '굴욕·치욕·굴종 외교' 등 논란이 거세게 일 것에 대해 '모든 비난은 직접 안고 가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일 간의 어정쩡한 줄다리기로는 현재와 같은 최악의 한일관계를 끊을 수 없다고 판단, 부정적인 여론과 국정 지지율 하락 등을 감수하고서라도 현실과 상황을 객관적으로 직시하고 더는 시간을 끌지 않겠다는 의지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강제징용 등 한일 최대 현안에 대해 지금까지 '폭탄 돌리기'를 이어온 악순환의 고리를 단박에 끊겠다는 단호한 결의로 보인다"며 "발표 시점이 좋지 않다는 지적도 있지만 어차피 해야 할 거면 시간을 더 끌지 않겠다는 의지도 엿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이는 이달 중 한일정상회담이라는 성과로 이어져 다음달 개최 전망인 한미정상회담까지 '한미일 연쇄회담'으로 내달리는데 힘을 실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적잖다.
강제징용 해법 발표 이후 3월 내 한일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아직 논의를 시작하지 않았다"면서도 "양국 정부가 함께 이 문제를 직시하고 있고 논의할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본다"고 말한 바 있다.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들도 윤 대통령의 16∼17일 방일 가능성을 보도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도 "한일 간의 미래지향적 협력은 한일 양국은 물론 세계 전체의 자유, 평화, 번영을 지켜줄 것"이라며 "양국의 미래지향적 협력을 위해 양국 정부 각 부처 간 협력체계 구축과 아울러 경제계와 미래세대의 내실 있는 교류 협력 방안을 세심하게 준비하고 지원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