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 세계적 경기 한파에 K푸드 수출 돌풍 '휘청'… 김 수출마저 21% 급감

올해 첫달 수출액 12% 감소…수산 식품 연어, 명태 절반수준 떨어져

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수출입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한국 경제를 지탱해온 수출이 5개월 연속 마이너스 성장했다. 반면 수입은 늘어나 무역적자 행진이 1년째 이어졌다. 연합뉴스
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수출입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한국 경제를 지탱해온 수출이 5개월 연속 마이너스 성장했다. 반면 수입은 늘어나 무역적자 행진이 1년째 이어졌다. 연합뉴스

전 세계적 경기 한파로 우리나라 김, 김치 등 농림수산물식품 수출액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올해 1월 농수산식품 수출액은 약 8억 5천만 달러로 지난해 동기보다 12.2% 감소했다.

농수산식품 수출액은 신선식품, 버섯류, 과일류, 김치류 등 전반에 걸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신선식품 수출액은 1억 1천만 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1월보다 11.4% 하락했다. 버섯류와 과실류 수출액이 각각 22.0%, 20.4% 줄었다. 김치와 인삼류 수출액도 각각 11.3%, 9.6% 감소했다.

가공식품 수출액도 11.5% 감소한 5억 3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특히 가공식품은 라면을 제외하면 대부분 품목이 감소했다. 음료 수출액은 19.8% 떨어졌다. 소스류와 과자류 수출액도 각각 9.6%, 7.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 수산 식품 수출액은 2억 1천만 달러로 지난 2022년 1월보다 14.5%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수산 식품 수출액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김 수출액이 21.4%나 줄었고, 굴 수출액은 16.3% 감소했다.

전년 같은 달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건 연어, 명태 수출액으로 각각 56.2%, 47.6% 폭락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에 대한 수출액(1억 820만 달러)은 28.5% 떨어졌고 유럽연합(EU)·영국에 대한 수출액(5천190만 달러)은 30.8% 줄었다.

aT 관계자는 "재고가 누적된 데다 각국의 물가 상승에 따라 소비가 위축돼 한국산 농수산식품 수입이 지난해 1월에 비해 줄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경우 K푸드에 대한 관심은 여전하지만,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과 소비심리 위축 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수출 증가 회복세가 더디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