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경주에 들어서는 ‘SMR국가산단’…경제적 파급효과는?

정부 국가산단 신규 공모에 ‘경주SMR국가산단’ 선정
사업비 3천966억원 들여 2030년까지 원전산업 특화산단 조성

경북 경주에 들어설 SMR국가산업단지 조감도. 경주시 제공
경북 경주에 들어설 SMR국가산업단지 조감도. 경주시 제공

경북 경주시가 정부 신규 국가산단 공모에서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다. 정부의 최종 결정에 따라 2030년까지 전 세계 원전시장을 공략할 150만㎡ 규모의 SMR국가산업단지가 경주시 문무대왕면 일원에 들어서게 된다.

정부는 15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국가첨단산업 육성 전략 및 국가산단 후보지를 발표했다. 경주시는 이날 정부가 발표한 전국 15곳 국가산단 후보지에 이름을 올렸다.

경주시가 추진하는 SMR국가산단 조성사업은 국내 소형모듈원전 연구개발의 요람이 될 문무대왕과학연구소 건립과 연계한 특화사업이다.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민선8기 경주시의 핵심 전략사업이기도 하다.

경주시가 최근 연구용역을 통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SMR국가산단을 통해 유발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7천3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3천410억원, 취업유발효과 5천399명이다. 산단 조성 후 가동 시엔 생산유발효과 6조7천357억원, 취업유발효과 2만2천779명에 달할 것으로 조사됐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해 새정부 출범과 함께 국토균형발전과 차별화된 강소도시 육성을 위해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 선정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경주시는 지난해 10월 제안서를 제출하고 현장점검, 전문가 종합평가, 산업입지 정책심의위원회 심의 등 까다로운 심사를 거쳤다. 이 과정에서 경주시는 국가 전략산업으로서의 정책적 타당성과 풍부한 입주수요 등이 강점으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특히 신규 국가산업단지 평가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꼽혔던 입주수요 확보를 위해 전국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홍보에 나서면서 대기업을 포함한 225개 기업, 275만㎡의 입주수요 면적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경주시는 SMR국가산단이 경주의 미래 100년을 견인할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SMR국가산단이 경주는 물론 경북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세계 최고의 산업단지가 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