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결핵 발생률 26년째 OECD 국가 중 1위 '오명'

10만 명당 결핵 발생률 44명…OECD 국가 평균(9.7명) 웃돌아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2027년까지 발생률 절반 이하로 감축 목표

결핵. 클립아트코리아 이미지
결핵. 클립아트코리아 이미지

우리나라 결핵환자가 계속 감소하고 있지만, 발생률은 26년째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24일 제13회 결핵예방의 날을 맞아 오는 2027년까지 국내 결핵 발생률을 현재의 절반 이하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2023~2027년)을 발표했다.

질병청은 결핵예방법에 따라 2013년부터 5년마다 결핵관리종합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전체 결핵 환자 수는 2만383명으로, 2013년(4만5천292명)의 절반 이하 수준이다. 이 기간 인구 10만 명당 결핵 발생률은 89.6명에서 39.8명으로 감소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전 세계적으로 결핵 환자는 증가하는 추세지만 한국은 감소세를 유지했다. 2021년 세계 결핵 환자 수는 전년도보다 4.5% 증가했는데, 우리나라는 8.0% 감소했다.

하지만 한국은 26년째 OECD 국가 결핵 발생률 1위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021년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결핵 발생률은 44명으로 OECD 평균(9.7명)의 4.5배에 달했다. 결핵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 당 3.8명으로 콜롬비아(5.0명), 리투아니아(4.6명)에 이어 3번째로 높았다.

질병청은 "결핵 발생률은 노숙인, 의료 수급권자 등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높다"며 "고령화에 따라 65세 이상 환자의 비중과 사망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질병청이 이날 내놓은 3차 결핵관리종합계획은 2027년까지 결핵 발생률을 20명 이하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고위험군 검진비 지원을 비롯해 잠복 결핵 감염 검진과 치료를 강화하는 한편, 노인과 노숙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찾아가는 결핵검진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결핵 고위험 국가에서 입국하는 외국인에 대해서는 입국 전 단계에서 결핵 검진을 실시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 밖에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결핵 환자는 치료가 끝날 때까지 보건소 전담 인력이 1대 1로 사례관리를 실시하고, 의료기관 적정성 평가에 결핵 치료 성공률 지표를 반영할 계획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