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기기에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해 건강관리를 하는 '디지털헬스 케어'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가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301개사를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전체 매출은 1조8천227억원으로 전년 대비 34.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품목별로는 의료용기기 매출이 9천731억원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건강관리 기기가 2천546억원, 디지털 건강관리 플랫폼이 2천250억원으로 집계됐다.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의 투자액 역시 증가했다. 투자액은 전년 대비 66.8% 증가한 4천951억원이었다.
이 중 시설 투자비와 교육 훈련비는 전년 대비 4배 가량 증가한 1천448억원이고, 연구개발비는 35.4% 증가한 3천502억원으로 조사됐다.
국내외 총 투자유치액은 1조6천931억원으로 집계됐다. 의료용 기기 투자 유치액이 이 중 36.7%인 6천210억원을 차지해 가장 많았고 의료인·환자 간 매칭 플랫폼이 21.7%, 의료용 소프트웨어가 19.3% 순으로 이어졌다.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수출액은 전년 대비 5.4% 증가한 7천992억원으로 집계됐다. 수입액은 22.7% 늘어난 721억원이었다.
특히 의료용 소프트웨어 수출액과 디지털 건강관리 플랫폼 수입액이 두드러졌다.
전반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은 지난해 대비 종사자 수가 10.7%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종사자 30명 미만의 중소기업이 대다수인 7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매출 10억원당 종사자 수는 전년 대비 7.15명으로 감소했다. 산업부는 이는 빠른 매출 성장세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