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이른바 '대장동 50억 클럽' 의혹 재수사를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최근 박영수 전 특별검사 압수수색에 나선 데 이어 김수남 전 검찰총장과 권순일 전 대법관 등 다른 50억 클럽 거론 인물들에도 관심이 쏠린다.
2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엄희준)는 지난달 30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수재 등) 혐의를 받는 박 전 특검과 2016년 '박영수 특검' 당시 특검보였던 양재식 변호사의 주거지 및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박 전 특검은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으로 재직 중이던 2014년 우리은행의 대장동 컨소시엄 참여 및 PF 대출 청탁에 대한 대가로 민간업자들로부터 금품을 수수하기로 약속한 혐의를 받는다.
양 변호사는 이 과정에서 실무를 담당한 것으로 조사됐는데, 검찰은 그가 대장동 일당과 약정한 금액이 부동산 등을 포함해 약 200억원 상당에 이른다는 취지의 진술을 사건 관계자로부터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박 전 특검 강제수사에 나서면서 그동안 진척이 없었던 50억 클럽 의혹 조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모습이다. 이번 압수수색은 지난해 7월 수사팀 개편 뒤 첫 피의자 강제수사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장동 사업에 기여한 대가로 화천대유자산관리(화천대유)로부터 50억원을 받기로 했다는 '50억 클럽' 명단에 포함된 인물들은 박 전 특검을 포함해 6명이다.
2021년 9월 처음 의혹이 제기된 뒤 정치계·법조계 고위 인사 등이 수사선상에 오르고 박 전 특검과 권 전 대법관 등이 소환 조사를 받았으나 기소까지 된 인물은 곽상도 전 의원이 유일했다.
지난 2월 1심 법원이 곽 전 의원의 뇌물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뒤 비판 여론이 들끓자 50억 의혹에 대한 검찰 움직임이 가시화되기 시작했다. 이원석 검찰총장은 곽 전 의원 항소심에 엄정 대응을 주문했고 담당 수사팀엔 지난 달 들어 검사 4명이 파견됐다.
박 전 특검 외 남은 인물 5명 중에선 김 전 총장과 권 전 대법관이 다음 타깃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김 전 총장은 수원지검장이던 2012년 최윤길 전 성남시의회 의장의 대장동 뇌물 수수 혐의 사건과 관련해 화천대유자산관리(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로부터 금품을 대가로 사건 무마를 청탁 받았다는 의혹을 받는다.
검찰은 "(50억 의혹 수사를) 일률적으로 동시에 진행할 순 없고 상황에 맞게 하고 있다. 사건에 선후나 차이를 두고 있진 않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