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소재 대구 기업인 ㈜엘앤에프가 매출 최다 증가율을 기록하며 '1조원 클럽'에 신규 진입했다.
5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상장 중견기업 712곳의 2021년과 2022년 실적을 비교한 결과 지난해 매출 1조원 클럽에 새로 진입한 국내 상장 중견기업은 26곳으로 매출액은 전년대비 18.2% 증가한 263조8천596억원으로 파악됐다.
중견기업의 영업이익은 19.0% 늘어난 15조74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매출 1조원 이상을 기록한 중견 상장기업은 총 39곳으로, 2021년 16곳보다 23곳 늘었고 2021년과 비교하면 26곳이 신규 진입, 3곳이 탈락했다.
전기차 배터리용 하이니켈 양극재를 생산하는 엘앤에프는 이중 매출액이 2021년과 비교해 가장 많이 늘어난 기업으로 나타났다. 엘앤에프는 매출이 2조9천165억원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엘앤에프의 호실적에는 친환경 전기차의 인기에 힘입어 지난해 이차 전지 양극화 물질 판매량이 대폭 확대됐기 때문이다.
엘앤에프 외에도 IT전기전자, 자동차·부품, 철강·금속·비금속 업종이 매출 성장을 주도했다.
자동차 부품 생산 대구 기업 삼보모터스도 1조1천999억원으로 2021년과 비교해 1천700억원이 증가하며 1조원 클럽에 새롭게 이름을 올렸다.
엘앤에프의 뒤를 이어 DN오토모티브와 비에이치, 세보엠이씨, 코웰패션, 휴스틸 순으로 매출 증가 폭이 컸다.
1조원 클럽에서 제외된 기업도 있다. 위니아와 탑엔지니어링, KPX케미칼 등 3곳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보다 감소하며 탈락했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 업종의 매출액이 8조6천237억원 늘어나 증가 폭이 가장 컸고, 자동차·부품, 철강·금속·비금속, 석유화학, 조선·기계·설비 순으로 뒤를 이었다.
영업이익은 IT전기전자, 자동차·부품, 조선·기계·설비 순으로 증가 폭이 큰 반면 서비스, 유통, 건설·건자재 등의 업종은 감소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