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군도 대구경북신공항 특별법 통과로 항공물류·정비산업단지, 농식품산업클러스터, 관광문화단지 조성사업에 가속이 붙을 전망이다. 이는 신공항 유치 당시 의성군에 약속된 인센티브다.
이중 최대 과실은 항공물류단지와 농식품산업클러스터다. 하지만 정작 두 시설의 성공 핵심 키가 될 민간공항 화물터미널은 의성·군위 접경에서 군위군 쪽에 크게 치우쳐 배치될 것으로 전해졌다. 의성군 쪽에 배치하는 공항시설은 군부대 정문, 영내 주거시설, 복지‧체육시설 등이다.
이 때문에 의성군은 특별법 통과에도 그리 분위기가 밝지 않은 상황이다. 신공항 건설에 따른 과실을 얼마 얻지 못하거나 그마저도 빼앗길까 불안감을 내비치고 있다. 당장 눈에 보이는 건 손해뿐이라는 인식이 퍼지면서 '지역 발전'에의 기대감도 크게 떨어졌다.
일부 주민은 "의성에 항공물류단지를 조성하면 군위 쪽 민항 화물터미널로 수십 ㎞를 돌아가야 해 효율이 나쁘다. 정작 항공물류단지를 의성에 설치해도 효과를 볼 수 없다"며 "이러다간 항공물류단지를 군위 소보(신공항 이전지)와 가깝고 제반 여건도 충분한 구미시에 빼앗길 것"이라며 우려 섞인 불만을 내놓는다.
특히 신공항 이전지 바로 옆인 비안면 화신1리와 산제2리 주민들은 이주 대상 지역에 포함되지도 못한 채 소음과 비행기만 머리 위에 떠안게 됐다며 '이주대책 마련'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의성군민 A씨는 "주민들은 의성에 민간공항이 오는 줄 알고 신공항 유치에 찬성했는데, 지금으로선 득 되는 것은 별로 없고 소음 피해와 군사지역이라는 짐만 떠안은 모양새"라며 울분을 터뜨렸다.
불만이 고조되자 김주수 의성군수 등 신공항 유치에 앞장섰던 이들에 대한 책임론도 번진다. 정치적 이유로 신공항 유치전에 뛰어들었으면 군위처럼 실익을 챙겼어야 하는데 무능한 행보로만 일관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3선에 접어든 김 군수 행보가 사실상 신공항 정책을 군정 후순위로 미룬 것만 같다며 의심과 질책을 쏟아낸다.
군민 B씨는 "지금이라도 김 군수와 의성군은 그간의 여러 실책을 만회하고 신공항 정책을 가다듬어 얻을 수 있는 것은 최대한 얻도록 죽을힘을 다해 뛰라"고 지적했다.
한편 경북도는 항공물류단지와 농식품산업클러스터를 의성에 배치하면서 그 효율을 높이고자 의성 쪽 공항진입로 설치를 구상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