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통합신공항에 UAM 위한 시설 포함"…대구시, UAM 지역 거점 도시로 자격 충분

13일 'UAM 지역 시범서비스 및 산업육성 전략' 포럼 개최…"대구는 충분한 수요와 관련 산업이 풍부"

대구시는 1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대구시는 1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UAM 지역 시범서비스 및 산업육성 전략'에 관한 포럼을 개최했다. 사진=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차세대 모빌리티 분야인 '도심항공교통(UAM)' 산업 육성을 통해 지역 최초 UAM 서비스 시범 사업 추진에 나선다. 시는 정부가 계획 중인 2025년 K-UAM 초기상용화 실현 실증 및 시범사업에서 지방 최초로 UAM 시범 도시가 되기 위해 민·관·연과 힘을 모으는 것은 물론 선도적인 관련 정책 수립에도 나서기로 했다.

대구시는 13일 오전 10시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강대식·이인선 국회의원과 함께 'UAM 지역 시범서비스 및 산업육성 전략'에 관한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UAM관련 기업과 연구기관, 학계 등 각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지역 UAM 시범서비스의 필요 조건과 앞으로의 추진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의 첫 번째 주제 발표자로 참석한 전정규 한화시스템 부장은 UAM 기체(eVTOL) 개발 현황 및 초기 사업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전 부장은 "UAM 분야는 수직이착륙하는 항공기, UAM용 교통관리시스템 및 도심 이착륙장, 상용 운송을 위한 통합 서비스 등 여러 사업분야가 함께 갖춰져야 한다"라며 "한화시스템은 오는 2026년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UAM 기체를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UAM은 각 지역이 목적에 맞게 운영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울과 부산, 대구 등 대도시는 교통서비스가 우선이며 전라, 제주 등 주요 관광 지역은 그에 맞춰 관광용 UAM 사업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는 것.

두 번째 주제 발표자로 나선 김명현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대구가 UAM 서비스를 시작하기에 장점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그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은 항공기와 UAM의 공존을 위해 기본설계부터 버티포트 등 UAM을 반영할 예정이다"라며 "민간 협업을 통한 사업추진과 포항, 경주 등 인근 지역과의 관광노선 개발 등에서도 대구는 이점이 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현덕 경북대 첨단정보통신융합산업기술원장은 대구 미래모빌리티 산업육성을 위한 UAM 시범도시 운용 전략을 발표했다.

김 원장은 "대구는 낙동강과 금호강, 신천 등 하천을 활용한 안전한 UAM 노선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반경 100km에 1천200만명에 달하는 인구 및 대규모 산업단지가 있어 수요도 풍부하다"고 평가했다.

특히 산업적으로도 대구시는 경산, 영천으로 연결되는 산업벨트를 형성해 전국 모빌리티 생산의 19.7%를 차지할 정도로 탄탄한 모빌리티 부품 기업군을 형성하고 있어 하드웨어 분야에 있어 UAM 선도도시로서의 매력이 충분하다고 내다봤다.

이 밖에도 대구시가 전국 최고의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자율차와 UAM을 연결한 통합교통서비스를 구축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대구시는 1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대구시는 1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UAM 지역 시범서비스 및 산업육성 전략'에 관한 포럼을 개최했다. 사진=대구시 제공

주제발표 후에 열린 전문가 토론에서는 대구시가 UAM 지역시범사업 추진 시 앞으로의 과제와 성공적인 사업의 조건 그리고 산업육성 방안 등에 대해서 의견을 주고 받았다.

포럼에 참석한 정민철 한국공항공사 단장, 박세훈 한국법제연구원 연구위원, 이진수 한국교통안전공단 도심항공정책처장, 문우춘 첨단항공우주기술 연구소장 등은 입을 모아 대구가 비수도권 최초로 UAM 시범도시로 지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대구의 경우 소득증가와 생활수준 향상으로 UAM 잠재수요의 증가 및 산업 성장을 예상하고 있었다. 또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개항 이후 대구공항 후적지를 교통거점지역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부분에 대해 공감대가 크게 형성됐다.

포럼을 공동주최한 국민의힘 강대식·이인선 국회의원 역시 대구가 UAM 시범도시로 선정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