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진출한 한국 기업 1분기 시황·매출 다소 개선…2분기 전망 맑아

산업연구원, 현지 228개 사 BSI 조사 실시…제조업 5개 분기 만 오름세로

산업연구원 로고.
산업연구원 로고.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1분기 시황과 매출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원자재 수급 상황과 자동차, 금속기계 품목의 수요 부진이 다소 개선되면서 전 분기보다 호전됐다.

16일 산업연구원은 중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 228개 사를 대상으로 한 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일부터 27일까지 산업연구원이 대한상공회의소 북경사무소, 중국한국상회와 함께 진행했다.

BSI가 기준선(100)을 넘으면 조사 항목이 전 분기와 비교해 개선됐다고 응답한 업체 수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을, 기준선 미만이면 반대 의미로 풀이된다.

중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의 1분기 현황 BSI를 살펴보면 시황 75, 매출 77로 각각 전 분기에 비해 8포인트(p) 씩 증가했다. 매출은 2021년 4분기 이후 처음으로 상승세로 돌아섰다.

영업환경(78)은 20p나 오름세를 보였다.

이에 반해 현지 판매(78)는 3분기 연속 동일했고, 설비투자(87)는 6p 내리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78)은 8p 오르며 5개 분기 만에 오름세로 돌아섰고, 유통업(69)은 2분기 연속 상승세를 그리고 있다.

제조업 가운데 전기전자(105)가 22p, 금속기계(87)가 17p 상승하는 등 자동차(67)와 섬유·의류(60)를 제외한 전 업종에서 매출이 전 분기 대비 호전됐다.

2분기 전망 BSI의 경우 시황(112)과 매출(121) 모두 각각 38p와 37p 오르며 큰 폭으로 상승 전환했다. 시황은 4개 분기, 매출은 3개 분기 만에 기준선인 100을 넘어서며 긍정적인 전망이 나왔다.

현지판매(124)도 전 분기보다 40p 급등해 세 개 분기 만에 기준선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영업환경(115)도 35p 상승, 7개 분기 만에 100을 돌파할 것으로 점쳐졌다.

업종별로는 제조업(120)은 36p 상승하면서 세 개 분기 만에 기준선을 웃돌 것으로 전망됐다. 유통업(125)은 45p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제조업 업종별 BSI 전망치는 모든 업종이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이며 100 이상을 기록했다. 다만, 전기전자(95)는 기준선을 하회했다.

산업연구원은 "제조업과 유통업의 현지 수요 부진과 원자재 조달 어려움이 다소 완화되면서 업황과 전망이 개선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