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 투표 100%'로 선출된 국민의힘 지도부가 출범 직후 잇따른 설화와 막말로 위기를 자초하고 있다. 사상 초유의 '지도부 리스크'가 발생한 건 일반국민 여론조사를 전혀 반영하지 않은 것이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국민의힘은 지난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 규정을 기존 '7대3'(당원 투표 70%·국민 여론조사 30%)에서 당원 투표 100%로 변경했다. 여론조사는 예비경선(컷오프)에서 당원으로 국한됐다.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았던 정진석 의원은 "백만 당원이 투표에 참여하는 구조라는 건 민심과 당심을 따로 분리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당심이 곧 민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2004년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 전당대회 경선 때 처음 도입됐던 국민 여론조사는 19년 만에 보수당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하지만 당심 만으로 구성된 '김기현 체제'는 출범 두 달이 채 안 돼 잇따른 설화와 막말로 논란의 중심에 서고 있다.
특히 최고위원 경선에서 득표율 1위를 기록한 김재원 최고위원은 ▷5·18 정신 헌법 수록 반대 ▷4·3 추념일 격하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 유착 논란 등으로 현재 1달간 공개활동이 금지되는 자숙 처분을 받고 있다.
태영호 최고위원은 ▷'JMS' 민주당 표현 ▷백범 김구 비하 논란 등으로 인해 김기현 대표로부터 대외활동을 자제하라는 경고를 받았다.
조수진 최고위원은 야당이 강행하는 양곡관리법 개정안 입법의 대안으로 '밥 한 공기 다 비우기' 캠페인을 제안, 구설을 자초하기도 했다.
이에 20일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는 김재원·태영호 위원이 불참한 채 진행됐다. 일반 최고위원(4명) 중 절반이 빠진 것이다.
정치권에선 민심과 동떨어진 여당 최고위원들의 언행이 당원 투표 100%의 부작용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당대회 과정에서 국민 여론조사를 통해 최소한의 민심은 반영됐어야 하는데, 당원 수 증가로 인해 '당심이 곧 민심'이라고 오판했다는 것이다.
김철현 정치평론가는 "태영호 최고위원의 경우는 전당대회 기간 중 이미 제주 4·3 사건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적이 있다. 만약 국민 여론조사가 반영됐다면 당선이 어려웠을 것"이라며 "김재원, 조수진 최고위원도 당심 만을 겨냥한 강경 발언에 힘입어 당선된 측면이 있다. 이들이 민심과 결이 다른 언행을 보이는 이유"라고 진단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