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이 지난해 순이익이 27% 이상 감소하는 상황에도 연구개발(R&D) 투자는 8조4천억원 넘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기술(IT)과 인공지능(AI) 분야를 중심으로 투자가 집중된 가운데, 삼성SDI와 카카오는 지난해 처음으로 R&D 투자비용 1조원을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2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최근 3년 연속 사업보고서를 통해 연구개발 활동을 공시한 기업 231곳(금융사 제외)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지난해 R&D 투자액은 68조4천115억원으로 전년 대비 14%(8조4천42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이들 기업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23조6천785억원, 순이익은 106조1천575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25.4%, 27.1% 감소했다. 글로벌 경기둔화와 수출 감소로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줄었지만, 미래를 위한 R&D 투자는 늘린 셈이다.
지난해 R&D 투자액을 늘린 기업은 231곳 중 173곳(74.9%)이다. 투자 규모를 줄인 기업은 58곳(25.1%)에 그쳤다. R&D 투자액 상위 10개 기업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현대자동차, LG디스플레이, 기아, 네이버, LG화학, 현대모비스, 삼성SDI 등이다. 상위 10개 기업의 지난해 연구개발비는 총 47조8천447억원으로, 조사 대상 기업 투자액의 70%에 달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지난해 R&D에 24조9천292억원을 투자해 전체의 36.4%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경기 둔화와 함께 반도체 사이클이 하강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16% 줄었지만, R&D 투자는 오히려 10.3% 늘렸다.
지난해 매출액 대비 R&D 투자액이 컸던 기업은 넷마블(32.1%), 네이버(22.0%), 크래프톤(21.8%), 엔씨소프트(18.4%), 셀트리온(18.1%) 등으로 주로 서비스·게임, 제약·바이오 등 고성장 분야 기업이었다. 넷마블은 전년보다 연구개발비를 50% 이상 늘리며 매출의 3분의 1을 R&D에 투자했다. 카카오(1조213억원)의 R&D 투자액은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섰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40조8천8억원), 자동차·부품(8조9천542억원), 서비스(5조3천145억원), 석유화학(3조8천285억원), 조선·기계·설비(2조5천542억원) 등의 순으로 R&D 투자액이 많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