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빈 방미] 윤 대통령, 국빈 오찬서 "한미동맹 미래, 과거보다 더 찬란할 것"

27일 김 여사와 미 부통령 및 국무장관 주최 국빈 오찬 참석
김 여사, 미 부통령 남편과 환담 …미 국립아시아예술박물관도 방문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27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회의사당에서 윤 대통령의 미 의회 연설에 앞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남편 더글러스 엠호프 부군과 만나 환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27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회의사당에서 윤 대통령의 미 의회 연설에 앞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남편 더글러스 엠호프 부군과 만나 환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빈 방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김건희 여사와 함께 카말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 내외와 앤서니 블링컨 국무장관 내외가 주최한 국빈 오찬에 참석, "한미동맹의 미래는 과거보다 더 찬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찬은 '해리 트루먼 빌딩'이라고 불리는 미국 국무부 본관 건물에 위치한 '벤자민 프랭클린 국빈연회장'에서 열렸다고 이도운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자유주의를 강화하고 외교를 중시하는 대외정책을 편 해리 트루먼 전 대통령을 기리는 건물과 미국 최초의 외교관인 벤자민 프랭클린의 이름을 따라 명명된 연회장은 미국인들에게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장소다.

이날 오찬엔 한미동맹의 최일선에서 활약 중인 각계 주요 인사들을 포함, 모두 220여 명이 참석했다.

블링컨 장관은 건배사를 통해 "한국과 미국은 안보적, 경제적 유대관계 뿐만 아니라 인적인 유대관계가 매우 깊은 동맹국으로서 '함께 가야 하는(go together)'관계"라고 했다.

이어 해리스 부통령은 "한미동맹이 양국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토대로 오늘날까지 발전해올 수 있었다"며 "한미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의 미래를 위해 양국이 계속 협력해 나가자"고 말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두려움 없는 전사(fearless fighter)인 해리스 부통령과 한미동맹의 강력한 지지자 분들과 함께하고 있으니 그 어떤 도전도 이겨낼 수 있을 것 같아 정말 마음 든든하다"고 답사했다.

이후 세계적인 재즈 뮤지션인 허비 행콕과 다이안 리브스가 무대에 올라 'Maiden Voyage', 'Peace' 등을 선곡해 공연했다.

이날 오찬엔 농어튀김 등이 올라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여사는 이날 블링컨 장관과 문화·예술, 마크 로스코 작가 등의 주제로 환담을 나누기도 했다. 블링컨 장관이 마크 로스코 가족과의 인연을 언급하자 김 여사는 "전시기획자로서 활동 당시 2015년에 국립미술관의 협조로 마크 로스코전을 준비했는데, 전날 국립미술관을 다시 방문해 로스코의 작품들을 보니 감회가 새로웠다"고 화답했다.

한편, 김 여사는 이날 윤 대통령의 미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 앞서 의회에서 카말라 해리스 미 부통령의 남편 더글러스 엠호프 부군과 만나 환담을 나눴다고 이 대변인이 전했다.

김 여사는 "(지난해 윤 대통령의) 취임식에 와주셔 감사하다"고 인사를 전하며 "해리스 부통령은 모든 여성의 선망의 대상일 정도로 대단하신 분"이라고 말했다. 이에 엠호프 부군은 "여성으로서 중요한 사회적 직책을 맡고 있는 것 자체가 많은 여성들에게 영감과 용기를 준다"고 화답했다.

이어 미국 스미스소니언 재단 산하 국립아시아예술박물관에서 열린 한국 문화체육관광부와 스미스소니언 재단 간의 양해각서(MOU) 체결식에도 참석했다.

김 여사는 "한미동맹의 핵심은 양국 국민이 나누는 우정과 이해이며, 이를 가장 잘 뒷받침할 수 있는 것이 문화예술 교류"라면서 "이번 MOU를 계기로 양국의 우정과 이해가 더욱 깊어지고, 양국 박물관·미술관의 교류 전시와 인적 교류가 더욱 활발해지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 여사는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등 박물관 프리어갤러리의 한국실에서 소장하고 있는 작품들을 둘러보기도 했다.

김 여사는 "1923년 박물관 개관 이래 문화재를 매개로 100년 간 이어진 한국과 미국 간의 오랜 인연을 마주한 것 같아 기쁘다"며 "국립아시아예술박물관에서 대한민국 문화재를 볼 수 있는 한국실을 두고 특별전을 꾸준히 개최해주셔 감사하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