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 소득 양극화가 더 심화하고 있다. 올해 1분기 소득 상위 20%(5분위)의 소득 증가율이 하위 20%(1분위) 대비 곱절 가까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소득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천148만3천원이다. 1년 만에 6.0% 증가했다.
소득 1분위 가구의 1분기 월평균 소득(107만6천원) 증가율이 3.2% 불과한 것과 비교하면 두 배 수준이다. 1분위 가구 소득 증가율은 1분기 물가상승률(4.7%)에도 못 미친다.
전체 소득 중 세금과 연금, 사회보험료 등을 뺀 처분가능소득도 1분위와 5분위 격차는 더 커졌다.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886만9천원으로 1년 새 4.7% 증가한 것에 비해 1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1.3% 증가한 85만8천원에 그쳤다. 즉, 상위 20%인 5분위 소득자의 증가 속도가 3배 이상 빨랐던 것이다.
소득만큼이나 5분위와 1분위의 소비지출 증가 격차도 벌어졌다. 1분기 중 5분위 가구는 월평균 512만5천원을 지출해 소비지출 증가율이 17.7%를 기록한 반면, 1분위의 경우 월평균 131만9천원을 지출해 13.7% 증가했다.
또 1분기 저소득자의 가계 살림은 적자이지만 고소득자는 흑자 살림을 했다. 1분위 가구는 월평균 46만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적자액은 53.7%를 기록했다. 5분위 가구는 374만4천원의 흑자를 냈는데, 처분가능소득 대비 흑자액이 42.2%에 달했다.
정원 기획재정부 복지경제과장은 "소득 5분위 배율은 사회안전망 강화와 물가 안정 등 요인과 경기둔화 등 요인이 모두 있어 앞으로 방향성을 예단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면서 "양호한 고용 흐름 및 전반적인 소득 증가세가 소득·분배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