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빅테크 파상 공세로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과 '국민 포털'인 네이버의 입지가 휘청이고 있다.
5일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모바일인덱스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카카오의 카톡 MAU(월간 실사용자 수)는 4천145만8천675명으로 1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2위인 구글 유튜브가 4천95만1천188명을 기록했다. 50만7천487명 차이에 불과하다.
카톡이 지난 2020년 5월 모바일인덱스가 안드로이드와 iOS를 통합 집계한 후 3년 만에 MAU 1위를 내놓을 위기에 처했다.
그동안 새로운 플랫폼이 생기면 카카오톡과 유튜브 두 플랫폼의 MAU가 줄었으나, 카톡 사용자 이탈 속도가 더 빨랐다.
두 플랫폼 MAU 격차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5월 기준 두 플랫폼의 MAU 격차는 2020년 298만7천225명, 2021년 227만2천538명, 2022년 153만494명으로 해마다 줄었다.
두 플랫폼의 MAU 차이는 지난해 12월부터 6개월 연속 감소세다. 12월 144만3천명에서 1월 125만7천165명, 2월 119만6천698명, 3월 84만1천176명, 4월 79만6천53명에 이어 지난달 50만7천487명으로 격차가 계속 줄었다.
이같은 감소세가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질 경우 역전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또 유튜브는 국내 음원 플랫폼인 카카오의 멜론도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당초 멜론의 국내 MAU 점유율은 31.6%로 1위였지만, 유튜브는 3위(15.9%)에 불과했다.
그러나 3년만인 지난달 5월 여전히 멜론이 1위(29.1%)였으나, 2위로 등극한 유튜브(24.3%)가 4.8%포인트(p)까지 추격했다.
이는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영상과 이미지 등 시각 정보가 풍부한 플랫폼을 선호하면서 이같은 변화가 생긴 것으로 분석된다.
정보기술(IT) 업계의 한 관계자는 "소셜미디어 앱에서 해외 플랫폼이 국산 플랫폼에 우세한 상황"이라며 "카카오의 경우 지난해 판교 데이터센터(IDC) 화재로 제반 서비스가 장기간 먹통 사태를 빚은 것도 고객 이탈 원인으로 꼽힌다"고 진단했다.
웹기반 검색엔진 시장도 구글의 영향으로 네이버 점유율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인터넷 트렌드(국내 5천만 MAU 웹사이트 행동 데이터 기준) 통계에 따르면 웹 MAU 1위 네이버의 점유율은 지난달 55.7%를 기록했다. 올해 1월 64.5%를 기록한 뒤 줄곧 하락해 2월 59.6%, 3월 57.3%, 4월 55.9%로 떨어졌다.
반면 2위 구글의 점유율은 지난달 34.8%를 기록했다. 올해 2월 30.0%, 3월 32.3%, 4월 34.0%로 지속 상승하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초거대 AI(인공지능) 기술 개발로 기존 검색엔진 시장의 규칙이 바뀔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내부적으로 위기감이 고조되는 것이 사실"이라고 전했다.
지난달 MAU 순위에서 상위권(6위) 중 3개 사가 구글 플랫폼이 차지했다.
이같은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네이버와 카카오는 서비스 개선에 집중할 방침이다. 네이버는 올해 하반기 AI 기술을 활용해 초개인화 환경으로 대개편할 예정이다.
지난달 카톡은 '채팅방 조용히 나가기' 기능과 오픈채팅을 별도 탭으로 만드는 등 서비스 개선에 힘쓰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