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미 금리차 2%p…외국인 자금이탈 유혹 커졌다

연준 기준금리 0.25%P 올려
한은도 추가 인상 검토 압력…주담대 금리 연쇄 상승 부담
기업은 자금조달 어려워지고 대출 이자 더 늘어나는 상황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이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연준 청사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후 기자회견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파월 의장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이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연준 청사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후 기자회견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파월 의장은 "더는 경기침체를 예상하지 않는다"면서도 데이터에 따라 오는 9월 금리를 인상하거나 동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26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5.25~5.50%로 0.25%p 올렸다. 이로써 미국 기준금리는 200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게다가 미국의 기준금리는 한국의 기준금리인 3.50%보다 상단이 2.0%p나 높아졌다. 1.75%p로 이미 역대 최대였던 한미 금리 격차가 더욱 벌어진 것이다. 양국 금리 차이 폭이 이처럼 크게 난 적은 없었다.

설상가상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데이터가 뒷받침된다면 기준금리를 9월 다시 올리는 것도 틀림없이 가능한 일"이라며 추가 인상 가능성까지 언급한 상황이다.

이러다보니 국내 경제계도 촉각을 곤두세운다.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국제 결제·금융거래의 기본 화폐)가 아닌 원화로서는 기준금리 격차 확대로 더 높은 수익률을 좇아 외국인의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 미국 금리가 높은데 굳이 한국에 달러를 저축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 이달까지 네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들도 추가 인상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금리 인상이 마냥 쉬운 일도 아니다. 국내 경기와 수출 등 고려해야 할 사안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또 한국은행이 연준을 따라 기준금리를 올린다면 채권금리가 상승하고 대출금리도 오를 수밖에 없다. 부실 채권 위험성은 급증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실제로 주담대 고정금리의 준거금리인 금융채(AAA·무보증) 5년물 금리는 25일 4.218%를 기록했다. 5월 말까지 3% 후반대였으나 이후 상승하면서 4% 초반대를 형성했다. 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예금금리와 금융채 금리 상승세를 반영해 두 달 연속 올랐다. 지난달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70%로 전월보다 0.14%p 올랐다.

한기영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본부 차장은 "기업 입장에선 자금조달 어려움과 대출이자 상승 등 계속 어려운 상황으로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