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력 기관 중심의 기계로 분류하던 자동차가 수많은 반도체를 탑재한 전자장비로 탈바꿈함에 따라 차량용 고성능 반도체 확보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서 10㎚(나노미터) 이하 초미세공정을 중심으로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기존 차량에는 모바일 기기나 PC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는 30㎚ 이상의 레거시(구형) 공정에서 주로 양산해 왔다.
앞으로는 자율주행, 차량 인포테인먼트 등 다양한 전자장비를 운용할 수 있는 고성능 칩 사용 빈도가 증가할 예정이다.
오는 2025년 현대차그룹에 공급 예정인 차량용 프리미엄 인포테인먼트 프로세서 '엑시노스 오토 V920'은 5㎚ 공정 기반 반도체가 들어간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6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개최한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3'에서 2027년에는 2㎚ 공정을 차량용 반도체로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내놓기도 했다.
테슬라도 2019년 자율주행 하드웨어 'HW 3.0'을 자체 개발 당시 반도체 설계 분야 레전드로 칭송받는 짐 벨러를 중심으로 10개 안팎의 14㎚급 고성능 반도체와 중앙집중형 아키텍처(구조)를 구축했다.
기존 내연기관차의 경우 전자제어장치(ECU)와 3㎞에 이르는 와이어링 하네스(전선뭉치)가 들어갔는데 고성능 반도체를 탑재하면서 단순화했다. HW 3.0 상위 버전인 HW 4.0에는 삼성전자의 7㎚ 공정에서 양산하는 반도체도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만 TSMC의 경우 최근 독일 공장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이곳에서는 28㎚급 공정뿐 아니라 12·16㎚ 공정까지 도입할 계획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자동차업계가 초미세 반도체에 주목하는 것은 더 작고 발열에 따른 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는 고성능 반도체를 탑재해야 전기차 기술 우위를 점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