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해역에서 한국미기록종 산호가 발견돼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16일 독도 남서해역에서 정향돌산호과의 한국미기록종을 발견하고, '둥근측컵돌산호'로 이름 붙여 국내 학회지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KIOST 민원기 박사 연구팀은 우석대학교 황성진 교수 연구팀과 지난해 8월 독도 남서해역 수중 수심 7m에서 한국미기록종 '둥근측컵돌산호'를 발견했다.
미기록종은 다른 나라에서 발견된 적이 있지만, 국내에서 사는 것이 처음 확인된 종을 의미한다.
이번에 보고된 돌산호는 1872년 필리핀 동쪽 사마르 섬 라피닉(Samar, Lapinig)에서 처음 발견된 종이다. 주된 서식지는 열대 해역이지만, 이보다 훨씬 북쪽에 위치한 독도 해역에서 발견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KIOST 관계자는 "독도는 다양한 해양생물의 서식처이면서 과학적으로도 의미가 큰 우리의 고유 영토"라며 "앞으로도 독도를 비롯한 우리 바다의 해양환경과 생태계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연구팀은 2021년, 2022년에도 독도 해역에서 아열대성 희귀 어종인 '부채꼬리실고기'와 '파랑쥐치'를 발견해 학계에 보고했다. 이들 어종의 발견으로 학계는 독도 해역의 해양생태계가 열대, 아열대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