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은, 기준금리 연 3.50%로 또 동결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속하면서 관련 리스크가 확대하는 가운데 다중 채무자가 주로 이용하는 카드론 잔액도 늘어나고 있다. 22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8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BC카드)의 지난달 말 기준 카드론 잔액은 35조3천952억원으로 6월(34조8천468억원) 대비 5천483억원 증가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거리에 붙은 카드대출 안내 스티커. 연합뉴스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속하면서 관련 리스크가 확대하는 가운데 다중 채무자가 주로 이용하는 카드론 잔액도 늘어나고 있다. 22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8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BC카드)의 지난달 말 기준 카드론 잔액은 35조3천952억원으로 6월(34조8천468억원) 대비 5천483억원 증가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거리에 붙은 카드대출 안내 스티커.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24일 기준금리를 다시 연 3.50%에서 동결했다. 한은은 앞서 지난 2월과 4월, 5월 7월에도 기준금리를 3.50%로 동결했는데 이번 결정으로 5연속 기준금리가 동결됐다.

특히 가계부채가 늘고 원/달러 환율이 다시 오르는 등 인상 요인이 있었으나, 최근 중국 부동산 리스크까지 겹쳐 경기가 더 불안해진 만큼 인상으로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키기보다 동결한 뒤 상황을 지켜보자는 신중론이 반영된 것으로 읽힌다.

이날 한은이 금리를 동결한 주된 배경은 불안한 경기 상황인 것으로 분석됐다. 2분기 성장률(전 분기 대비 0.6%)은 1분기(0.3%)보다 높지만 세부적으로는 민간소비(-0.1%)를 비롯해 수출과 수입, 투자, 정부소비 등 모든 부문이 뒷걸음쳤다.

또 중국 부동산개발업체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 등으로 중국 리스크가 커지고 미국의 추가 긴축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가운데, 하반기 경기 반등 실현이 더욱 불투명해졌다.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2.3%)이 2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긴 했지만, 기저효과가 큰 만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가능성도 적잖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또 미 연준이 정책금리 추가 인상을 시사한 상황에서 한미 금리 역전차 확대를 우려해 쉽사리 금리를 내리는 것도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3.5%)와 미국(5.25~5.5%) 금리 차는 역대 최대인 2.25%포인트 이상으로 확대되기 때문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