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추석을 앞두고 과일, 채소 등 성수품의 가격 높낮이가 지난해에 비해 크게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 성수기 수요가 증가하는 사과, 배 등 과일 가격은 1년 전보다 뛴 반면, 배추·무 등 채소류 가격은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 등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사과(홍로·상품) 도매가격은 10㎏에 8만5천660원으로 1년 전 5만3천252원보다 60.9% 상승했다.
2018∼2022년 가격 중 최대·최소치를 제외한 3년 평균인 평년 가격(5만1천580원)과 비교하면 66.1%나 높은 가격이다.
배(원황·상품) 역시 도매가격은 15㎏에 5만6천920원으로 지난해 4만4천864원과 비교해 26.9% 비싸고, 평년 가격(4만7천573원)보다는 19.6% 상승했다.
올해 태풍과 긴 장마 등으로 작황이 좋지 않아 사과, 배 등의 공급량이 감소한 것이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추석 성수기 주요 농축산물의 가격 안정을 위해 정부 비축, 농협 계약재배 물량 등을 시장에 추가로 공급하고 있다. 올해는 사과, 배 공급량을 작년 추석 성수기보다 각각 7.1%, 8.3% 확대하기로 했다.
반면 추석 성수품 중 채소류 가격을 보면 배추는 10㎏에 1만4천440원으로 1년 전 2만9천456원보다 51.0% 낮고, 평년의 1만8천214원보다 20.7% 하락했다.
무 도매가격 역시 20㎏에 2만1천20원으로 1년 전(2만9천904원)보다 29.7% 감소했고, 평년(2만1천909원)보다 4.1% 하락했다.
양파(15㎏ 기준 2만1천140원)와 마늘(깐마늘 20㎏ 기준 13만167원) 도매가격도 1년 전과 비교해 각각 6.4%, 21.9% 떨어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배추, 무의 수급에 관해서는 안정적이라고 설명하며 다만 기상 상황에 따라 다시 상황이 바뀔 수있는만큼 비축물량 및 계약재배 물량을 점검해 추석까지 공급량 안정에 주력할 방침이다.
축산물 중에서는 공급량 감소에 따라 닭고기 가격이 1년 전보다 비싼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1일 기준 닭고기 1㎏당 도매가격은 3천680원으로, 1년 전 2천947원과 비교해 24.9% 올랐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