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추석 장보기, 과일은 뛰고 채소류는 싸져

작년 대비 사과 61%·배 27% 껑충, 배추 51%·무 30% 하락
닭고기 도매가 역시 24.9% 뛰어, 정부 추석 성수품 공급량 확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에 따르면 추석 성수기 수요가 증가하는 사과, 배 등 과일 가격은 1년 전보다 높은 반면, 배추, 무 등 채소류 가격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3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연합뉴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에 따르면 추석 성수기 수요가 증가하는 사과, 배 등 과일 가격은 1년 전보다 높은 반면, 배추, 무 등 채소류 가격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3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연합뉴스

올해 추석을 앞두고 과일, 채소 등 성수품의 가격 높낮이가 지난해에 비해 크게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 성수기 수요가 증가하는 사과, 배 등 과일 가격은 1년 전보다 뛴 반면, 배추·무 등 채소류 가격은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 등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사과(홍로·상품) 도매가격은 10㎏에 8만5천660원으로 1년 전 5만3천252원보다 60.9% 상승했다.

2018∼2022년 가격 중 최대·최소치를 제외한 3년 평균인 평년 가격(5만1천580원)과 비교하면 66.1%나 높은 가격이다.

배(원황·상품) 역시 도매가격은 15㎏에 5만6천920원으로 지난해 4만4천864원과 비교해 26.9% 비싸고, 평년 가격(4만7천573원)보다는 19.6% 상승했다.

올해 태풍과 긴 장마 등으로 작황이 좋지 않아 사과, 배 등의 공급량이 감소한 것이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추석 성수기 주요 농축산물의 가격 안정을 위해 정부 비축, 농협 계약재배 물량 등을 시장에 추가로 공급하고 있다. 올해는 사과, 배 공급량을 작년 추석 성수기보다 각각 7.1%, 8.3% 확대하기로 했다.

반면 추석 성수품 중 채소류 가격을 보면 배추는 10㎏에 1만4천440원으로 1년 전 2만9천456원보다 51.0% 낮고, 평년의 1만8천214원보다 20.7% 하락했다.

무 도매가격 역시 20㎏에 2만1천20원으로 1년 전(2만9천904원)보다 29.7% 감소했고, 평년(2만1천909원)보다 4.1% 하락했다.

양파(15㎏ 기준 2만1천140원)와 마늘(깐마늘 20㎏ 기준 13만167원) 도매가격도 1년 전과 비교해 각각 6.4%, 21.9% 떨어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배추, 무의 수급에 관해서는 안정적이라고 설명하며 다만 기상 상황에 따라 다시 상황이 바뀔 수있는만큼 비축물량 및 계약재배 물량을 점검해 추석까지 공급량 안정에 주력할 방침이다.

축산물 중에서는 공급량 감소에 따라 닭고기 가격이 1년 전보다 비싼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1일 기준 닭고기 1㎏당 도매가격은 3천680원으로, 1년 전 2천947원과 비교해 24.9% 올랐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