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이 해외의 물건을 구입할 때 사용하는 개인통관고유부호의 도용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범죄에 연루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개인통관고유부호 도용신고 전용창구에 접수된 신고 건수는 9천4건이었다. 지난해 1년 동안 접수된 도용 신고 건수 1천565건보다 약 5.8배 늘어난 수치다.
개인통관고유부호는 해외직구 과정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주민등록번호 대신 사용하는 개인 식별용 번호다. 개인물품 수입신고 시 수하인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관세 당국이 개인별 구매 실적을 파악하고 정확한 통관관리를 위해 도입했다.
도용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재발급 건수도 함께 늘었다. 지난해 한 해 동안 개인통관고유부호 재발급 건수는 4만9천97건이었다. 올해 7월까지 재발급 건수는 무려 18만9천351건이다.
양경숙 의원은 "타인의 개인통관고유부호를 도용해 해외 밀수입, 부정수입 등을 하거나 일부 수입업자들이 탈세에 악용하는 등 불법행위를 저지르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며 "도용 사례가 증가할수록 선량한 소비자의 피해가 커지는 것" 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