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13일 "가짜뉴스는 사람이 만들어내는 것인데, AI와 디지털을 이용해 빛보다 더 빠른 속도로 확산되면서 자유민주주의와 이에 기반한 시장경제를 훼손하고 우리의 미래와 미래세대를 망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주재한 제20차 비상경제민생회의 겸 대한민국 초거대 AI 도약' 회의에서 "세계가 지금 제일 많이 걱정하는 것이 가짜뉴스의 확산 문제"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먼저, 윤 대통령은 초거대 인공지능의 정의와 영향에 대해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초거대 인공지능은 슈퍼컴퓨팅을 기반으로 해서 사람처럼 종합적인 인지, 판단, 추론이 가능한 그런 AI를 말한다"며 "AI는 반도체, 데이터, 플랫폼 서비스를 비롯해 전후방 산업뿐 아니라 국가안보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고 했다.
또, 챗GPT 등장 이후 글로벌 빅테크는 초거대 AI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막대한 자본을 투자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면서, "AI는 승자 독식 특성이 큰 기술로서 AI 주권을 확보하는 것은 디지털 시대의 국가 경제・안보와 직결된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각국의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는 초거대 인공지능에 대한 정부 지원과 민간 투자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윤 대통령은 "최근 우리 기업들이 독자적인 초거대 AI를 연이어 출시하고 있다"며 "정부의 지원은 기업의 과감한 투자와 도전에 마중물이 된다. 궁극적으로는 민간의 투자와 도전이 우리 초거대 AI 경쟁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디지털 질서와 함께 AI, 디지털과 관련된 법제도, 거버넌스, 규제 정책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윤 대통량은 "디지털에는 국경이 없고, 또 연결성과 즉시성을 갖고 있어 한 나라에만 적용되는 법제나 규제를 가지고는 해결할 수 없다"며 "그래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보편적 디지털 규범과 질서를 정립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디지털 권리장전을 속도감 있게 마련하고, 글로벌 차원에서 통용될 수 있는 디지털 윤리 규범을 국제사회와 함께 만들어나가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초거대 AI 기업들이 성장함으로써 우리나라 AI 디지털 분야와 AI 디지털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전 산업의 발전과 도약이 이뤄질 수 있도록 초거대 AI 기업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날 회의는 우리나라가 디지털 모범국가로 나아가기 위해 AI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민관이 함께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 앞서 별도로 설치된 부스를 방문해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의 보고서 초안 작성 ▷장애인 대상 시각 보조 서비스 ▷화장품 패키징 디자인 창작 등 국내 기업이 개발한 초거대 AI 서비스를 직접 살펴보고, 기업 관계자와 개발자들을 격려했다.
이날 회의엔 국내 초거대AI 기업 대표, AI 중소·스타트업 청년 창업가, AI 전문가, AI 전공대학(원)생 등이 참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