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공기업 직원들의 기강해이가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출장을 나가 하루에 수백만원하는 호화 숙소에 묵거나 근무지를 무단 이탈해 경마장에 가는 등 사례들이 감사원 감사에서 무더기로 드러났다.
10일 감사원이 공개한 '공공기관 재무 건전성 및 경영관리 실태' 감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20~2021년 주요 공공기관 14곳 임직원 65명은 겸직 규정을 어기고 부당하게 영리 행위에 나서 총 24억원을 벌었다. 한국전력 직원은 직접 태양광발전 사업을 경영하며 수억원대 매출을 올렸고 한국수자원공사 등 직원은 다단계 판매 사업을 운영했다.
근무지 무단이탈 사례도 확인됐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4개 기관 직원 8명은 근무시간임에도 경마장에 출입한 사실이 적발됐다.
대구 동구 신서혁신도시에 위치한 한국가스공사에서도 부적절 사항들이 지적됐다. 가스공사는 직원 87%가 보상 휴가를 받기 위해 시간 외 근무 실적을 허위로 입력한 사실이 드러났다. 가스공사 사장과 간부들은 해외 출장 숙박비를 별도 규정 없이 무한정 지출하기도 했다.
이들이 공무원 여비 기준 대비 초과 사용한 숙박비는 감사원 조사 기간 동안 총 7천623만원에 달했다. 채희봉 전 가스공사 사장은 호텔 스위트룸에 묵으면서 하루 숙박비로 260만원을 지출했다. 사흘간 묵은 총숙박비는 780만원이나 됐다.
방만한 공공기관 경영 사례도 공개됐다. LH는 입학생 정원이 30%에 불과한 사내 대학(LH토지주택대학교)을 운영하며 교원 대부분을 자사 퇴직자로 채용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필요성 검토, 보안 조치도 없이 3급 이하 전 직원에게 약 80억원을 들여 노트북 5천690대를 일괄 지급했다.
한국철도공사 경영 상황 실태도 문제점 투성이었다. 감사원에 이날 별도로 공개한 감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7~2021년) 공사의 누적 영업 적자는 2조7천11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지출한 영업비용 중 승무원 인건비는 40.5%로 비중이 가장 컸다.
하지만 승무원 근로시간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거나 비상 대기 인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등 비효율적 인력 관리로 연간 137억원 손실이 났다.
동력차 승무원 대다수가 철도차량 운전면허를 보유하지 못한 것도 감사원은 문제로 봤다. 공사 내 여객열차 운전이 가능한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보유자는 기관사 현원의 50.6%인 816명에 불과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