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새마을금고 다중채무자 연체율 급증…"감독 권한 금감원에 넘겨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양정숙 의원 자료
금고 다중채무자 연체율 2018년 1.2%→올해 3.6%
연체액 6천445억원→2조1천956억원, 240.7% 껑충

새마을금고 자금 이탈 규모가 감소세로 전환된 지 이틀째인 9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새마을금고 지점의 모습. 새마을금고 위기설로 인해 지난주 내내 확대 분위기던 자금 이탈 규모는 지난 7일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연합뉴스
새마을금고 자금 이탈 규모가 감소세로 전환된 지 이틀째인 9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새마을금고 지점의 모습. 새마을금고 위기설로 인해 지난주 내내 확대 분위기던 자금 이탈 규모는 지난 7일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연합뉴스

새마을금고 다중채무자 연체율 급증세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양정숙 무소속 의원이 행정안전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 다중채무자(새마을금고를 포함한 금융회사 3곳 이상에서 대출받은 경우) 연체율은 3.6%로 집계됐다. 2018년 연체율 1.2%에서 3배 증가한 것이다.

고금리에 취약한 다중채무자들이 추가로 돈을 빌리거나 돌려막지 못해 상환에 어려움을 겪으며 연체율이 빠르게 오른 것으로 풀이된다. 새마을금고 다중채무자 총대출액은 2018년 54조3천562억원에서 올해 6월 60조8천114억원으로 11.8% 증가했다.

연체액 증가 폭은 더 컸다. 같은 기간 총연체액은 6천445억원에서 2조1천956억원으로 240.7% 급증했다.

특히 청년 다중채무자의 연체율 상승세가 뚜렷했다. 20대 연체율은 2020년 1.43%, 2021년 2.12%, 지난해 3.36%에서 올해 6월 4.33%로 올라섰다. 40대 연체율도 2020년 1.91%, 2021년 1.64%, 작년 2.68% 수준에서 올해 4.34%로 급증했다.

새마을금고 중앙회 경영혁신자문위원회는 다음 달 전문경영인 체제 도입과 리스크 강화 방안 등을 포함한 혁신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여기에 더해 다중채무자 부실 심화에 대한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양 의원은 "새마을금고는 뱅크런(예금 대량 인출) 사태 우려가 있었는데도 다중채무자 연체율 관리가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라며 "관리·감독 권한이 행안부에 있고, 요청할 경우 금융감독원이 점검할 수 있어 사실상 관리 사각지대에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전문성을 갖춘 금융 당국이 필요에 따라 관리·감독해야 한다. 관리·감독 권한을 금융감독원으로 일원화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