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리튬·니켈 핵심광물 확보 공급망 다변화 나서는 K배터리 업계, 정부도 산업육성 지원 나서

지난달 31일 에코프로 포항캠퍼스에서 열린 에코프로이노베이션과 아이오니어간 MOU 체결식에 참석한 에코프로이노베이션 김윤태(사진 오른쪽) 대표와 제임스 캘러웨이 아이오니어 회장이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에코프로 제공
지난달 31일 에코프로 포항캠퍼스에서 열린 에코프로이노베이션과 아이오니어간 MOU 체결식에 참석한 에코프로이노베이션 김윤태(사진 오른쪽) 대표와 제임스 캘러웨이 아이오니어 회장이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에코프로 제공

2차전지 원료 핵심 광물 확보를 위한 한국 기업의 보폭이 넓어지고 있다. 우리 정부도 중국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광물 공급망을 재편을 통한 배터리 산업 자립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에코프로는 호주의 리튬 생산기업인 아이오니어와 함께 미국 네바다주 리튬 광산 개발을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두 기업은 지난달 31일 에코프로 포항캠퍼스에서 리튬 추출 및 수산화리튬 생산에 관한 연구개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아이오니어는 샘플, 기초 데이터를 에코프로이노베이션 측에 제공하고 정기적인 교류를 통해 기술개발 과제를 진행한다. 연구개발이 완료되면 에코프로이노베이션과 아이오니어는 북미 수산화리튬 전환 공장 건설을 추진할 예정이다.

아이오니어는 미국 네바다주 광산에 매장된 리튬클레이(리튬이 섞인 점토 물질)를 에코프로에 제공하고,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수산화리튬을 생산해 이익을 공유하는 형식이다.

네바다주 광산에는 7천740만 톤(t) 규모의 리튬클레이가 매장돼 있다. 다만 리튬클레이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리튬을 추출하는 기술력이 필요하다. 고순도 수산화리튬은 2차전지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중간재다. 리튬을 추출한 뒤 가공을 거쳐 수산화 리튬으로 전환해 양극재 생산에 활용한다.

에코프로 계열사인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수산화리튬 전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2021년부터 연간 1만3천t의 수산화리튬 상용화 제조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4년 가동을 목표로 하는 포항 2공장 건설도 추진 중이다.

이날 STX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지역의 니켈광산에서 내년 상반기부터 니켈을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STX는 지난 8월 니켈광산 지분 20%를 확보하고 현지 법인과 합작투자사를 설립해 관련 사업을 진행 중이다.

해당 광산을 통해 연간 200만t의 니켈을 채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허가가 순조롭게 이뤄질 경우 채굴과 제련, 운송·판매까지 니켈 관련 전반 밸류체인(가치사슬)을 구축할 수 있다.

니켈은 2차전지 양극재 핵심 원료로 대중국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 중 하나다. 포스코홀딩스 역시 인도네시아에 니켈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양극재를 생산하는 포스코퓨처엠은 필리핀에 니켈제련공장을 신설한다.

한편, 정부도 광물 공급망 다변화에 힘쓰고 있다.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지난달 29일부터 4일간 칠레를 방문해 경제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칠레는 리튬 매장량 세계 1위 국가로 높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