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시아나항공 화물부문 인수자는? 티웨이항공 포함 LCC 4곳 후보로 거론

아시아나항공 이사회는 2일 대한항공과의 기업결합을 심사하는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에 대한항공이 제출할 시정조치안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정조치안의 골자는
아시아나항공 이사회는 2일 대한항공과의 기업결합을 심사하는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에 대한항공이 제출할 시정조치안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정조치안의 골자는 '기업결합 후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매각'이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강서구 아시아나항공 본사 모습. 연합뉴스

아시아나항공 이사회가 화물사업 매각을 결정하면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인수에 나설 1차 후보군으로 주목받고 있다.

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인수 가능성이 거론되는 기업은 대구에 본사를 둔 티웨이항공을 비롯해 이스타항공, 에어인천, 에어프레미아 등 총 4곳이다. 다만 화물부문이 매물로 나오기까지 절차가 남았고, 구체적인 가격 산정이 어려운 탓에 아직 공식 입장은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은 최근 5년간 연간 1조원 이상의 안정적인 매출을 거뒀다. 항공산업이 위기에 처한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도 매출을 높이는 데 일조해왔다. 아시아나항공의 연간 화물 매출은 2017∼2019년 1조3천억∼1조4천억원 규모였으나, 2020∼2022년 2조1천억∼3조1천억원 수준까지 올랐다.

2019년까지 아시아나항공 전체 매출의 20% 안팎을 차지하던 화물사업의 비중은 팬데믹으로 여객 운항이 중단된 지난 2021년 당시 72%까지 상승했다. 올해 들어 화물 운임이 정상화되면서 매출 비중은 축소됐으나, 일각에서는 아시아나항공의 화물사업 인수는 매출을 증대하고 외형을 키우는 기회가 될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현재 인수 후보로 거론되는 LCC 4곳 중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 운송량이 아시아나항공과 가장 근접한 기업은 화물 전용 항공사 에어인천이다. 다만, 하지만 에어인천을 포함한 LCC와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부문의 격차가 커 현실적으로 인수가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적지 않다.

에어인천의 올 상반기 순화물(우편물·수하물 제외) 운송량은 2만243톤(t)으로, 아시아나항공(27만9천97t)의 7.2% 수준이다.

티웨이항공의 화물사업도 최근 급격히 성장하는 추세다. 지난 2019년 30억원 규모였던 티웨이항공의 화물사업은 2021년 57억원, 지난해 171억원으로 6배 가까이 성장했다. 올 상반기 매출이 133억원에 달해 이런 추세라면 지난해 수준을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티웨이항공은 올 상반기 아시아나항공의 2.5% 수준인 6천999t의 순화물을 운송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국내 LCC가 실제 인수전에 참여할 것인지 예측이 어렵다. 업계 관계자는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에 묶인 글로벌 네트워크와 전문인력 등의 이전 가능성, 구체적인 매각 조건 등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