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반기 서울 지역 아파트 전셋값이 오름세를 보이면서 전월세 계약갱신청구권(이하 갱신권)을 사용한 비중이 상반기보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5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공개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하반기(7~10월)에 체결한 전월세 갱신계약 중 갱신권을 사용한 경우 34.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반기(1~6월) 32.8% 대비 1.7%포인트(p) 증가한 수치다.
전셋값이 고공 행진하던 지난해 상반기 갱신권 사용 비중은 평균 65.3%였다. 이후 전셋값 하락으로 지난해 하반기 53.3%까지 떨어지더니 올해 상반기에는 30% 초반까지 내려앉았다.
갱신권은 2년 계약 만기 후 상승률을 5% 이하로 제한해 재계약 요청할 수 있는 세입자의 권리이다. 그동안 전셋값이 하락하면서 역전세난이 심화하자 갱신권을 사용할 필요가 없었지만, 최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상승하면서 하반기 들어 갱신권 사용 비중이 증가한 것이다.
전셋값이 상승하자 기존 전세 계약보다 재계약을 하면서 보증금을 올려준 사례도 많아졌다.
부동산R114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보증금 증액갱신 비중이 지난 6월 39.2%에 불과했지만, 10월 들어 48.8%로 9.6%p 늘었다.
이 가운데 갱신권 사용 비중도 지난 6월 18.8%에서 10월 24.8% 6.0%p 증가했다.
부동산R114 여경희 수석연구원은 "올해 하반기 들어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이로 인해 역전세난 파장도 당초 우려에 비해 잦아들면서 증액갱신 사례가 늘었다"며 "내년에는 올해보다 입주 물량이 크게 줄어 전세 불안이 우려되는 만큼 정부 차원의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