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국 단체관광객 재개에도 유통업계 '유커 특수' 없었다

지난 9월 방한 중국인 관광객, 26만4천여명, 2019년 당시 49% 그쳐
중국 단체관광 줄고 MZ세대 늘어나는 경향, 쇼핑보다는 체험 선호

지난 9월 중국 지난에서 한국으로 단체 관광을 온 중국 단체 관광객들이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버스 탑승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9월 중국 지난에서 한국으로 단체 관광을 온 중국 단체 관광객들이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버스 탑승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인의 한국 단체관광이 지난 8월 재개된 이후 3개월이 흘렀지만 기대하던 '유커 특수'는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 관광객 회복이 더디게 이뤄지면서 '특수'를 기대하던 유통업계는 고민이 커지고 있다.

6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 9월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작년 동기 대비 793.8% 늘어난 26만4천여명으로 조사됐다.

올해 월별 기준 가장 많은 중국인 관광객이 한국을 찾았으나 전달과 비교하면 4천여명 늘어나는 데 그쳤고 두 번째로 한국을 많이 찾은 일본인 관광객(25만여명)보다 1만4천여명 정도 더 많았다.

이는 코로나19 감염병 사태 이전인 2019년 같은 달의 48.8% 수준에 그친다.

9월 방한 외국인 규모가 2019년 같은 달의 75.2% 수준을 회복한 것과 비교하면 중국인 관광객 회복세는 더디다는 분석이 많다.

중국인이 전체 외국인 관광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년 전 37.1%에서 24.0%로 13.1%p 떨어졌다.

중국인 관광객 유형이 단체 여행객에서 MZ세대(1980년대초∼2000년대초 출생) 중심의 개별 여행객으로 바뀐 점도 유커 특수를 기대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한국관광공사의 '2023년 중국 MZ세대 소비패턴 및 여행행태 분석'에 따르면 중국 MZ세대는 최소한의 비용으로 짧은 시간 동안 많은 관광지를 보는 '특전사식 여행'을 즐긴다.

관광지 중심의 여행을 즐기기보다 테마와 체험 중심의 여행을 선호하는 것도 특징이다.

이에 따라 과거 유커 특수를 누리던 면세업계와 화장품업계는 기대와 달리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지난 9월 국내 면세점의 외국인 방문객은 63만8천여명으로 올해 들어 가장 많았으나 이들을 상대로 한 매출은 1조805억원으로 증가 폭이 더뎠다.

국내 면세점의 외국인 매출은 방문객이 31만5천여명 수준이던 지난 3월 1조257억여원을 기록했다가 이후 매달 방문객 수 증가에도 오히려 8천억원에서 9천억원대를 오가는 데 그쳤다.

호텔신라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77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71% 감소했다.

호텔 부문은 24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으나 면세 부문이 163억원의 영업손실이 나면서 전체 실적이 감소했다. 화장품 업계도 3분기에 실적 개선(턴어라운드)에 성공하지 못했다. 아모레퍼시픽은 3분기 영업이익이 173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8.2% 감소했고 LG생활건강의 3분기 영업이익은 1천285억원으로 32.4%나 줄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