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전국에서 아파트를 매입한 사람 중 30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처음으로 40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전국 아파트 거래 신고 현황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전국에서 거래된 아파트 매매는 31만6천603건이었다. 이 가운데 매입자가 30대인 경우가 27.1%(8만5천701건)을 차지해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거래에서 30대 매입 비중이 40대를 추월한 것은 정부가 연령대별 거래 현황을 공개한 2019년 1월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의 경우 1∼9월의 전국 아파트 거래 비중은 30대가 22.4%, 40대가 24%이었다. 연간 거래량으로도 2019년 이후 매년 40대의 거래 비중이 컸다.
30대 매입자가 늘어나는 경향은 서울에서 다른 지역으로 확산하는 추세다.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에 대한 대출 혜택이나 청년 우선 분양 등의 정책적 지원으로 청년들이 전세보다는 매매를 선호하는 쪽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세사기 여파도 청년층의 아파트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30대 주택 구매력은 아파트 뿐 아니라 단독·연립 등을 포함한 주택 전체 시장에서도 두드러지고 있다. 올해 1∼9월 전국 주택의 30대 매입 비중은 23.3%로 50대(22.6%)보다 컸다. 40대(23.8%)와의 격차도 0.5%포인트로 지난해(2.9%포인트)보다 줄었다. 서울 주택은 2020년부터 이미 30대 매입 비중이 40대를 넘어선 상태다.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소득이 높은 서울 등 수도권은 물론, 지방도 점차 30대의 주택 매수가 늘면서 주택 거래량과 가격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정부와 주택 사업자들도 이에 맞는 정책과 사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