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北에 아들 잃은 웜비어 부부의 복수는 계속된다…"러 은행 자금 220만달러 받아"

북한에 억류됐다 의식불명 상태로 송환된 후 숨진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아버지 프레드 웜비어와 어머니 신디 웜비어. 연합뉴스
북한에 억류됐다 의식불명 상태로 송환된 후 숨진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아버지 프레드 웜비어와 어머니 신디 웜비어. 연합뉴스

6년 전 북한에 의해 아들을 잃은 부모가 복수에 성공했다. 북한에 억류됐다가 의식불명 상태로 송환된 후 숨진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유족이 미국 은행에 동결된 러시아 은행 자금 약 220만 달러(한화 28억여원)를 배상금으로 회수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1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 뉴욕 남부 연방법원은 지난달 23일 뉴욕멜론은행에 예치된 러시아 극동은행 소유 자금을 웜비어의 부모에게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소유권 이전이 승인된 자금은 미국 뉴욕멜론 은행에 예치된 220만3천258달러로 원 소유주는 '러시아 극동은행'이다. 부부는 "극동은행이 북한 고려항공의 대리·대행 기관이다"라고 주장하며 해당 자금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했는데 법원이 이를 받아들인 것이다.

극동은행은 지난해 5월 북한 고려항공에 재정적, 물질적, 기술적 지원을 제공한 혐의로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의 제재 대상에 올랐으며, 뉴욕멜론은행은 극동은행 소유 자금을 동결했다.

이후 웜비어 유족은 극동은행이 북한 고려항공의 대리·대행 기관이라며 해당 자금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했고, 법원이 이를 인정한 것이라고 VOA는 전했다.

VOA는 "2019년 미국 의회가 통과시킨 '오토 웜비어 북핵 제재 강화법'으로 제3자 제재(세컨더리 보이콧) 대상의 자금에 대해서도 (피해자가) 소유권을 주장할 길이 열렸다"면서 "웜비어 부모가 아들 이름을 딴 법의 첫 수혜자가 됐다"고 평가했다.

웜비어 부부의 복수는 아들이 세상을 떠난 이듬해인 2018년 워싱턴DC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해 법원으로부터 5억 달러의 손해배상액을 인정받은 것으로부터 시작됐다. 부부는 이 판결을 근거로 전세계 곳곳에 흩어진 북한 자산을 추적했다. 2019년 북한산 석탄을 불법 운반하다 인도네시아 당국에 억류된 선박 '와이즈 어네스트 호'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해 매각 대금 일부를 받기도 했다.

한편 웜비어는 2016년 관광차 방문한 북한에서 체제전복 혐의로 15년의 노동교화형을 선고받고 억류됐다. 그는 이듬해 6월 혼수상태로 석방돼 미국으로 돌아왔으나 엿새 만에 숨졌다.

2017년 6월 13일 석방 직후 숨진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가 북한 억류 당시인 2016년 3월 16일 평양 소재 최고 법원에 수갑을 찬 채 호송되는 모습.연합뉴스
2017년 6월 13일 석방 직후 숨진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가 북한 억류 당시인 2016년 3월 16일 평양 소재 최고 법원에 수갑을 찬 채 호송되는 모습.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