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경북(TK)신공항 건설과 후적지 개발 사업을 수행하게 될 특수목적법인(SPC) 설립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시는 올 연말까지 공기업들과 SPC 참여와 관련한 협약을 체결하는 한편, 내년 1분기까지 특수목적법인(SPC) 'TK신공항건설㈜'을 설립할 계획을 내놨다.
특히 국토교통부가 시행하는 민간공항 건설을 SPC가 수행하고, 공구 분할 및 동시착공·완공 등으로 개항 시기를 당초 목표인 2030년에서 2029년으로 앞당기는 방안도 제시했다.
◆내년 1분기 SPC 설립 목표 제시
시는 20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 호텔에서 TK신공항 SPC 참여 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열린 투자설명회는 올 들어 마련된 4차례의 투자설명회 가운데 가장 뜨거운 열기를 보였다.
설명회에 앞서 시와 국방부가 대구 군 공항 이전 '기부대양여 합의각서'를 체결함에 따라 시가 신공항 건설 및 후적지 개발 사업시행자로서 법적 지위를 확보했기 때문이다.
사업시행자는 사업을 수행할 사업대행자로 특수목적법인(SPC)을 선정할 수 있다. 기부대양여 방식으로 추진하는 대구 군 공항 이전 사업 성공의 핵심 열쇠로 꼽히는 SPC는 공공기관이 전체 지분의 50%를 넘어야 하고, 참여 공공기관이 민간기업을 공모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설명회에는 유관 부처인 국방부와 국토부, 한국공항공사·LH·한국도로공사·대구도시개발공사·대구교통공사·한국로봇산업진흥원 등 공공기관이 참석해 TK신공항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SPC 참여에 관심을 갖고 있는 민간기업들도 대거 참석했다. 현대건설과 삼성물산, 포스코, 대우건설, 디엘이앤씨, 동부건설 등 국내 굴지의 건설사를 비롯해 KDB산업은행, IBK투자증권, NH아문디자산운용, 대구은행 등 금융회사들도 자리를 함께했다.
특히 글로벌기업인 삼성전자와 신세계 등 대기업도 참석해 이목이 집중됐다. 이들 기업들은 건설 투자자(CI), 재무적 투자자(FI), 전략적 투자자(SI) 등 다양한 방식으로 SPC 참여가 가능할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시는 삼성전자와 신세계 등 대기업이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전략적 투자자는 투자 지분만큼 후적지 내에 토지를 확보하기 때문에 후적지 개발 후에도 지속적인 투자 유치가 가능하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시는 올 연말까지 국가 및 지방공기업과 신공항 SPC 참여와 관련한 협약을 체결하는 한편, 내년 1분기까지 '(가칭)TK신공항건설㈜'을 설립할 계획이다.

◆민항+군 공항 통합 건설로 조기 개항
이날 시는 사업성 보강 방안의 일환으로 민간공항과 군 공항 건설 사업을 통합, 공사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국토부가 시행하는 민항 건설 사업을 SPC가 군 공항 건설 사업과 동시에 수행하도록 국토부와 협의를 거쳐 TK신공항 특별법을 개정하겠다는 것이다.
이 경우 사실상 국비 2조6천억원을 지원받는 효과가 있는데다, 에어사이드 등 공항 부지 조성 시 중복 투자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그랜드 컨소시엄 조성으로 민항과 군 공항의 동시 설계 및 착공이 가능해져 공기 단축에 따른 사업비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시는 이 같은 방식으로 당초 목표인 2030년보다 1년 빠른 2029년 조기 개항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다른 사업성 보강 방안으로는 ▷종전부지 주변지역(423만㎡) 연계 개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조합 방식의 시민참여 펀드 조성 등도 제시됐다.
시민 참여 펀드는 시민들의 직접 투자를 통해 시중 금리보다 현저히 낮은 금리로 초기 자금을 조달할 수 있고, 후적지 또는 주변 토지 매수권을 부여하는 등 토지 연계 방안으로 펀드 매력을 확보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SPC 참여 업체 수에 제한이 없고, 지역 업체 참여 시 30%의 가점을 부여하는 계획도 내놨다.
시는 신공항 주변 지역에 에어시티와 첨단산업단지, 항공물류단지 등을 조성, 거대 신공항 경제권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후적지 698만㎡와 주변지 423만㎡에는 금호강과 연결된 물의 도시에 세계적인 랜드마크 등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해 관광‧상업‧첨단산업 중심지로 개발한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TK신공항 건설사업은 군 공항과 민간공항을 통합 이전하는 대한민국 최초이자 최대 규모 사업"이라며 "특별법 제정으로 사업의 안정성이 담보됐고, 후적지와 주변지역 연계개발 등을 통해 사업성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된 만큼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적극 참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