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뇌연구원은 인지과학 연구그룹 정민영 박사 연구팀이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감각 민감성과 관련된 특정 유전자가 뇌구조 발달에 영향을 주고, 장기적으로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사회성 문제에도 관여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뇌연구원 이선경 박사 후 연수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국제학술지 'Translational Psychiatry' 최신호에 게재했다.
신체감각의 민감성은 뇌구조와 유전자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게는 사회성 학습의 방해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건강한 성인남녀 100여명을 대상으로 MRI 뇌영상과 타액을 수집해 감각 민감성이 유전자 및 뇌 구조와의 연계성을 연구했다.
우선 연구자들은 수집한 타액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신경뇌하수체호르몬인 바소토신(Vasotocin) 수용체의 형태에 따라 감각자극이 더 민감해지고, 사회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MRI 뇌영상 데이터를 활용해 전두엽 중심앞이랑(Precentral Gyrus) 부위가 감각자극에 대한 민감성과 관련이 크다는 점을 최신 뇌 표면 분석(Brain Surface Analysis) 기법으로 확인했다.
실험에서 바소토신수용체의 특정유전자(rs1042615 A-carrier)를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감각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회관계에서 회피 경향이 크고 중심앞이랑(Precentral Gyrus) 뇌표면이 얕아지는 것도 확인됐다.
이는 특정 유전자가 뇌구조 발달에 영향을 주는 데다, 감강의 민감성에 관여해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사회성 문제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라고 연구팀은 전했다.
정민영 박사는 "발달장애의 감각 민감성과 사회성 문제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발달장애의 감각적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을 제시했다"며 "단시간 MRI 뇌영상과 비침습적 DNA 수집을 이용한 연구방법은 향후 아동 및 발달장애의 의료 접근성을 높여 저비용·고효율 진단 및 치료 연계를 위한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