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의협)가 정부의 의대 정원 추진에 반대하며 17일 대규모 거리집회를 여는 등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다만 의대 증원 필요성에 공감하는 국민 여론이 높고, 의협도 잇따른 내홍으로 내부 동력이 약해진 상태여서 집단 휴진·휴업 등 단체 행동까지 이어지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의협은 17일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소속 의사 8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한민국 의료붕괴 저지를 위한 제1차 전국의사 총궐기대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에서 의협은 "일방적인 의대 증원이 의료 붕괴를 초래할 것"이라며 "(총파업을 포함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저지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자리에서 이정근 의협 상근부회장과 길광채 광주시 서구의사회장이 삭발하는 등 대정부 투쟁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이필수 의협 회장 및 범의료계 대책위원회(범대위) 위원장은 "필수·지역의료 붕괴 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법적·제도적 안전장치 마련, OECD 평균에 못 미치는 필수의료 수가의 정상화, 전공의 근무여건 개선 등의 정책이 먼저 시행돼야 한다"며 "이후 의대 증원은 과학적·합리적 근거를 토대로 의료현안협의체에서 논의와 합의를 통해 풀어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협은 지난 11일부터 이날까지 회원들을 대상으로 총파업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다만 17일 자정에 마감하는 투표 결과를 곧장 공개하지는 않을 계획이다.
의협 관계자는 "이번 투표는 파업 여부가 아닌 (회원들의) 여론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며 "향후 정부와 협상 과정에서 의사들의 의견을 지렛대로 활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현재 의협은 매주 보건복지부와 의료협안협의체를 통해 '필수·지역의료 분야 지원 정책 패키지'를 논의하고 있다.
협의가 진행 중인만큼 당장 병·의원 집단휴진 등의 극한 투쟁은 벌어지지 않을 전망이다.
집단휴진·휴업에 따른 의료현장의 혼란과 환자 피해가 국민 여론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더불어 집단 휴업·휴진 사태가 벌어졌던 지난 2020년과 달리 전공의들이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내년 3월 새 의협 회장 선거를 앞두고 있는 점 등도 내부 동력을 약화시키는 원인으로 꼽힌다.
한편, 정부는 의협과 의대 증원 논의를 이어가면서도, 의협이 집단행동으로 국민 건강에 위협을 가한다면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