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노인 빈곤율이 또다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1위를 기록했다. OECD가 국가별 노인 빈곤율을 공개한 2009년에 얻은 오명을 좀처럼 떨쳐내지 못하고 있다.
19일 OECD가 최근 공개한 '한눈에 보는 연금 2023'(Pension at a glance 2023)'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로 OECD 회원국 평균(14.2%)보다 3배가량 높았다.
OECD 가입국 가운데 노인의 소득 빈곤율이 40%대에 달할 정도로 높은 국가는 한국뿐이다. 특히, 76세 이상은 52%로 2명 중 1명 이상이 빈곤층에 속했다.
한국 다음으로는 에스토니아(34.6%), 라트비아(32.2%) 등이 30%대를 기록했고, 일본(20.2%)과 미국(22.8%)는 우리나라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성별로 살펴보면 66세 이상 한국 여성의 소득 빈곤율은 45.3%로 남성(34.0%)보다 11.3%포인트 높았다. OECD 평균은 남성 11.1%, 여성 16.5%였다.
OECD는 "여성 노인은 소득 관련 연금 급여가 적고, 기대수명이 길어 남성 노인보다 빈곤율이 높다"며 "한국은 남성과 여성 노인의 빈곤율 차이가 11%포인트 넘어 비교적 격차가 크다"고 분석했다.
한국 노인은 다른 국가보다 고용률은 높았지만, 가처분소득이 낮았다. 65~69세 고용률은 50.4%로 OECD 회원국 중 일본(50.9%)에 이어 2위였다. 그런데 노인 인구 가처분소득은 전체 인구 평균 가처분소득의 68.0%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았다. OECD 평균인 88.0%보다 20%포인트 차이가 났다.
소득 불평도는 높게 나타났다.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는 0.376으로 OECD 평균(0.306)보다 높았다. 지니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하다는 뜻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감서 뻔뻔한 거짓말 안돼…위증 왜 수사 안하나"
대구시장 후보 지지도, 이진숙 21.2% VS 김부겸 15.6%
"조용히해! 너한텐 해도 돼!" 박지원 반말에 법사위 '아수라장'
AI 시대 에너지 중요한데…'탈원전 2막' 가동, 에너지 대란 오나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