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가스공사-중리동 정압관리소 갈등, 성서 열병합발전소로 번져

성서지역발전회 "발암물질 배출방지 및 안전 대책 내놔야"
가스공사 "주민 동의 필수는 아니지만 소통 이어갈 것"

최근 대구 달서구 성서지역에서 공사 중인 고압가스 배관공사의 모습. 성서지역발전회 제공
최근 대구 달서구 성서지역에서 공사 중인 고압가스 배관공사의 모습. 성서지역발전회 제공

대구 달서구 성서지역 주민들이 고압가스 배관공사를 하고 있는 한국가스공사와 달서구청을 상대로 안전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주민 의견수렴 절차가 부실했다는 지적과 함께 서구 중리동 정압관리소 증설 문제를 두고 진통이 이어지면서 달서구까지 불똥이 튀는 모양새다.

21일 달서구 성서지역 시민단체인 성서지역발전회는 성명서를 내고 "한국가스공사의 일방적인 성서열병합발전소 고압가스 배관공사 진행은 지역주민과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 정책"이라며 "열병합발전소 증설로 인한 발암물질 배출방지 대책 및 안전대책을 달서구청과 한국가스공사에게 요구한다"고 밝혔다.

현재 가스공사는 서구 중리 정압관리소부터 용산·이곡·월성동 등을 거쳐 약 7.6㎞ 길이의 도심 구간을 지나가는 가스 배관을 지하 1.5m 깊이에 묻는 공사를 추진 중이다. 이는 성서열병합발전소에 액화천연가스(LNG)를 공급해 발전용량을 늘리는 계획의 일부로 추진되고 있다.

성서지역발전회는 가스공사 측이 열병합발전소 증설과 관련해 전문 지식이 부족한 일부 주민들을 대상으로만 설명회를 개최한 뒤 이를 명분으로 도로점용 허가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정판규 성서지역발전회 회장은 "전체 배관 길이 중 달서구가 6.8㎞, 서구가 0.8㎞으로 달서구에 상당 부분이 공사됨에도 불구하고 배관공사에 대해 주민들과 충분한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주민들과의 공감대, 안전 대책 없이 공사가 계속 추진될 경우 특별대책위를 결성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서구에 이어 달서구 주민들까지 공사에 반발하는 목소리를 내자 한국가스공사 측은 당황스럽다는 입장이다. 가스공사 측 관계자는 "사업 자체가 주민 동의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며 "다만 사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라도 주민들과 소통은 꾸준히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시와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친환경에너지 개선사업에 따라 성서열병합발전소에 오염물질 배출량이 많은 벙커C유 대신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여기에는 고압가스 압력을 낮춰줄 정압관리소 및 가스관 매립 작업 등이 필수적이다.

당초 가스공사는 달서구 갈산동에 정압관리소 신설을 추진하다 지난 5월 서구 중리동 기존시설 증설로 방향을 바꿨다. 가스공사는 지난 20일까지 3회에 걸쳐 주민설명회를 열었으나 제대로 된 사업설명이 어려울 정도로 주민들의 강한 반발을 마주했다. 이번 사업과 관련해 매립이 필요한 배관은 7.6㎞ 길이고, 달서구 구간에선 1.2㎞가 현재 매립됐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