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도권 쏠림 현상 심화, 인구·취업자 절반 이상 분포

사업체 본사·본점 과반 수도권 집중 수출 비중은 70% 상회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서울과 경기, 인천에 국내 인구 절반 이상이 거주하고 있고 취업자 수도 과반이 몰려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본사도 절반 이상이 수도권 소재이며, 수출 비중은 70%를 넘는다.

14일 중소벤처기업부와 행정안전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 기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주민등록인구는 2천601만명으로 전체의 50.7%에 달했다. 서울 939만명, 경기 1천363만명, 인천 300만명 등이다.

서울 인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경기·인천 인구가 늘면서 수도권 인구 비중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수도권 인구 비중은 2018년(매년 12월 기준) 49.8%에서 2019년 50.0%로 처음 과반을 차지한 이후 2020년 50.2%, 2021년 50.4%, 2022년 50.5%로 늘었다.

경제활동을 하는 취업자 수는 지난해 12월 기준 수도권이 1천448만명으로 전체의 51.6%를 차지했다. 서울 519만명, 경기 765만명, 인천 165만명 순으로 조사됐다.

사업체의 경우 2022년 기준 서울 118만개, 경기 151만개, 인천 32만개 등 수도권에 전체의 49.1%인 301만개가 자리 잡고 있다. 사업체 중에서도 본사·본점 등은 서울 등 수도권에 전체의 55.9%인 5만2천725개가 있어 절반이 넘었다.

수출 기여도 역시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2022년 기준 한국의 총 수출액은 6천836억달러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수도권 비중은 72.3%에 달했다. 서울이 2천269억달러로 33.2%, 경기는 2천124억달러로 31.1%, 인천은 550억달러로 8.0%를 각각 차지했다.

특히 대기업의 수도권 수출 비중은 79.0%로 더 높았다. 서울이 전체의 40.0%를 차지했다. 중소기업의 수도권 수출 비중은 62.7%, 중견기업은 57.6%로 각각 집계됐다.

한편, 수도권과 비수도권 가구 간 자산 격차도 컸다. 수도권 가구의 평균 자산은 지난해 3월 말 기준 6억5천908만원으로 비수도권 가구(3억9천947만원)에 비해 2억5천961만원(65.0%) 더 많았다.

부채는 수도권이 1억1천754만원으로 비수도권(6천697만원)보다 5천57만원 많았다. 순자산은 수도권 5억4천154만원, 비수도권 3억3천250만원으로 2억원 이상 격차가 났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