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증원 정책에 반대한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정원 문제를 두고 특정 직역과 협상한 사례는 없다며, 의대 2천 명 증원 고수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14일 박민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 총괄조정관은 중대본 회의를 마친 뒤 열린 브리핑에서 정부는 정원 문제를 두고 특정 직역과 협상한 사례는 없다고 말했다.
박 조정관은 "변호사도, 회계사도, 약사도, 간호사도 마찬가지"라며, 특히 "'협상하지 않으면, 환자의 생명은 위태로워질 것이라는 식'의 제안에는 더더욱 응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의료개혁과 관련해서는 "의료계의 의견을 충분히 경청할 것"이라며 "개혁이 잘 정착되도록 제안해주는 어떠한 의견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늘부터 산부인과학회와의 간담회를 시작으로, 각 필수의료 전문학회와 지속적으로 대화를 진행할 예정"이며 "현장 의견을 경청하고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지역의료 강화를 위한 정책 방안으로 "기존 수련생인 전공의에게 의존하는 현행의 병원 운영체계를 전문의 중심으로 전환하고,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병원-의원으로 이어지는 의료전달체계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립대병원 등 지역 거점 병원의 역량을 수도권 주요 5대 병원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도 약속했다.
박 조정관은 "올해 안에 법 제·개정을 거쳐 2025년 본격 시행할 계획"이라며 "지역 내 의료기관의 허리 역할을 하는 지역 종합병원도 집중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