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가입자 절반은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이하 단통법) 폐지 후 이동통신 3사로 이동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지난달 28~29일 만 20∼64세 휴대전화 이용자 1천5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정부의 단통법 폐지 방침에 관한 소비자 인식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절반(50%)은 단통법 폐지 후 휴대전화를 구입한다면 '현 통신사를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다만 '더 저렴한 통신사로 이동하겠다'는 응답자도 34%로 집계됐다.
올해 휴대전화 구매 계획이 있는 소비자의 45%는 '폐지 때까지 구입을 유보할 것'이라고 답했다. 또 내년 이후 구매할 계획인 소비자 중 17%는 '올해 단통법이 폐지되면 구매를 올해로 앞당길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단통법 폐지 시 알뜰폰 시장에 타격이 클 수 있다는 설문 결과도 나왔다.
휴대전화를 교체할 예정인 알뜰폰 이용자의 48%는 이통 3사의 단말기 보조금이 많다면 '이통사로 이동하겠다'고 답했다. '알뜰폰 통신사를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자는 26%에 그쳤다.
단말기를 별도로 구입한 뒤 원하는 통신사에서 개통하는 구매 방식인 '자급제'도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
휴대전화 교체 예정자의 절반 이상(51%)이 자급제를 선택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나, 단통법이 폐지될 경우에는 자급제를 이용하겠다는 답변은 25%로 줄어들었다.
한편, 단통법 폐지 방침에 대해 '처음 듣는다'(22%)와 '듣긴 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잘 모른다'(67%)는 답변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단통법 폐지에 찬성한다는 응답자는 62%로 반대(9%)를 압도했다.
단통법 폐지에 반대하는 응답자가 꼽은 반대 이유(복수 응답)는 ▷보조금을 지원하면서 비싼 요금제를 유도할 것 같아서(57%) ▷휴대전화 가격이 별로 저렴해지지 않을 것 같아서(43%) ▷통신사 요금제가 비싸질 것 같아서(37%)의 순으로 집계됐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