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은 23일 원자력발전소 형상관리 분야에서 인공지능(AI)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에 따라 한수원은 올 상반기 내 건설 원전 형상관리 분야에 AI 기술 적용을 위한 본 사업에 착수하고, 연내에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형상관리는 발전소의 구조물, 계통 및 기기들의 특성을 식별해 이를 문서화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는 체계적인 과정이다.
한수원 감사실‧건설기술처‧중앙연구원은 공동으로 형상관리 분야에 AI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맞춤형 언어모델(sLLM)을 구축하고, 주요 설계 관련 문서를 학습해 AI가 문서 내 주요항목에 대한 분석·비교·검토 등을 수행하고 답변할 수 있는 시험용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를 발판으로 향후 건설 원전에 AI를 적용해 원전의 품질을 끌어올린다는 게 한수원의 방침이다.
최일경 한수원 건설사업본부장은 "향후 신한울 3, 4호기 건설 시 AI 기술을 활용해 안전성을 높일 계획"이라며 "원전 수출 측면에서도 경쟁력 있는 핵심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익규 한수원 상임감사위원은 "AI 기술을 활용해 발전소 운영과 안전성을 높이고, 직원들의 업무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켜 미래 기술을 선도하는 한수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