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속도로 동물찻길사고 5·6월 최다…“0시부터 8시까지 특히 주의”

2019~2023 동물찻길사고 6천78건 발생

당진청주선 41.3㎞ 육교형 생태통로. 한국도로공사 제공
당진청주선 41.3㎞ 육교형 생태통로. 한국도로공사 제공

최근 5년 간 전국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동물찻길사고는 5, 6월에 40% 가량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도로공사는 5, 6월 나들이 차량과 야생동물 활동량 동시에 늘어나는 시기로, 고속도로 운전 시 동물찻길사고에 주의해야 한다고 24일 밝혔다.

공사에 따르면 지난 2019~2023년 발생한 고속도로 동물찻길사고는 모두 6천78건이다. 월별로는 5, 6월에 38.5%(2천342건)가 집중됐고, 하루 중에는 자정~오전 8시 사이 46.9%(2천851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동물찻길사고를 당하는 야생동물은 고라니(84%), 멧돼지(6.3%), 너구리(5.5%) 순으로 많았다. 고라니는 상위 포식동물이 없어 개체수가 많고 주로 고속도로 주변 야산에 서식해 사고를 자주 당하는 것으로 공사는 분석했다.

공사는 동물찻길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도로전광표지판(VMS) 및 동물주의표지판 등이 보일 경우, 해당 구간에서 철저한 전방주시 및 규정 속도 준수 등 안전운전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운행 중에는 야생동물을 발견하면 핸들 및 브레이크의 급조작을 삼가고 경적을 울리며 통과해야 하며, 특히 야간 상향등은 동물의 시력장애를 유발해 야생동물이 정지하거나 갑자기 차를 향해 달려들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동물과 충돌한 경우에는 후속 차량과의 2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비상등을 키고 트렁크를 열어 사고차량임을 알리고 가드레일 밖 등 안전한 장소로 우선 대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후 한국도로공사 콜센터로 신고하면 안전·신속한 사고 수습이 가능하다.

공사는 동물찻길사고를 줄이기 위해 매년 50㎞의 유도 울타리를 설치하고 있으며, 현재 전국 고속도로에는 총 2천949㎞의 유도 울타리와 생태통로 142개가 설치됐다.

전체 생태통로에 인공지능(AI) 기반 모니터링시스템을 도입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생태환경 복원, 생태축 복원 사업 등을 추진한 결과, 2015년 2천545건에 달하던 동물찻길사고는 매년 감소해 2023년 기준 978건으로 60% 이상 줄었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동물찻길사고는 2차사고에 의해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고속도로 이용객의 안전과 야생동물 보호를 위해 예방시설 설치와 생태통로 관리를 내실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야생동물 유도울타리. 한국도로공사 제공
야생동물 유도울타리. 한국도로공사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