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원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이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 회의에 출석해 "인권위는 인권 좌파들의 해방구가 되어있는 실정"이라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김 상임위원은 1일 군인권센터가 낸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 대한 인권위 긴급구제 신청을 기각하는 과정에서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 전 장관처럼 '800'으로 시작하는 번호로 전화를 받았나"라고 묻자 이같이 말했다.
그러자 추미애 민주당 의원은 의사진행 발언을 요청하며 "인권위가 '좌파의 해방구'라는 말을 용납할 수 없다"며 김 의원의 사과를 촉구했다.
추 의원은 그러면서 "인권위는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기 위한 보편적 가치를 실현하는 곳이지, 좌파와 우파가 어딨나"라고 꼬집었다.
앞서 지난달 21일 운영위 업무보고에 출석한 김 위원은 박 대령에 대한 긴급구제 신청을 기각하기 전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과 통화한 사실을 인정했다.
김 위원은 지난해 8월 9일 사건 수사기록을 국방부가 회수한 조치가 부적절하다는 취지의 입장을 냈으나, 닷새 후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과 통화한 뒤 긴급구제 신청과 진정 사건을 모두 기각했다.
김 위원은 "군인권보호관 취임 이후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을 집무실에서 예방했고, 신원식 장관으로 바뀐 이후에도 한 번 찾아가서 말했다"고 했다.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이 "정황상 수사 외압이 의심되는 통화 이후 신임 국방장관을 만났다면 외부 압력이 이종섭·신원식 전현직 국방장관을 통해 김 위원에게 작동했다고 보는 게 합리적이지 않나"고 묻자 그는 "그런 식의 주장이 사실 왜곡, 조작"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시민사회를 중심으로는 비판적인 언론을 '기레기'라고 부르고, 인권시민단체를 '인권 장사치'라고 비난한 김 위원에 대한 사퇴 촉구가 이어지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징역 2년 구형' 나경원…"헌법질서 백척간두에 놓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