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은 4년여 간의 연구 끝에 최신 한국형 원자로인 APR1400의 국산 제어시스템(MMIS)을 디지털 트윈으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디지털 트윈이란 가상공간에 현실 사물의 쌍둥이(트윈)를 만들고 현실 데이터를 동기화해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융합기술이다.
특히 MMIS 디지털 트윈은 '전 가상화'(Full Virtualization) 방식을 통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 및 비안전 계통 제어기를 실제 설비와 동일하게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발전소 건설부터 운영 단계까지 모든 과정의 시뮬레이션이 가능한데, 발전소 건설 단계에선 설계 검증을 할 수 있고, 운영 단계에선 고장 등이 발생할 경우 근본 원인을 분석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된다는 게 한수원 측 설명이다.
한수원은 이날 MMIS 디지털 트윈 가상화 설비를 갖춘 '혁신형 MMIS센터'를 중앙연구원에 준공했다.
신호철 한수원 중앙연구원장은 "APR1400 국산 MMIS 디지털 트윈을 통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한층 끌어올릴 것"이라며 "이를 통한 해외 수출 경쟁력도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