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에너지솔루션이 전기차 수요 정체에도 불구하고 직전 분기 대비 실적 개선을 이뤘다.
LG에너지솔루션은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4천483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8.7%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8일 공시했다. 이는 직전 분기 대비 129.5% 증가한 액수다. 또 증권가에서 집계한 시장 전망치(컨센서스) 3천292억원을 36.2% 상회했다.
다만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첨단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금액 4천660억원을 제외하면 영업손실은 177억원을 기록했다. AMPC를 제외한 적자는 전분기의 2천525억원 대비 대폭 축소됐다.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출하량 증가에 따른 가동률 개선, 메탈가격 안정화로 인한 원가 부담 감소 등에 힘입어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 기간 매출은 6조8천778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6.4% 감소했으나, 전 분기보다는 11.6% 증가했다.주요 유럽 완성차 업체 대상 공급 물량 확대, 북미 및 인도네시아 합작법인(JV) 생산 증가, 북미 전력망 중심의 ESS 매출 확대에 힘입은 결과다.
전기차 시장 성장세 둔화에 고객 및 제품 포트폴리오 강화, ESS를 비롯한 비(非)전기차 사업 비중을 확대하며 사업 다각화에서도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대규모 수주 계약도 잇따르고 있다. 최근 독일 벤츠와 2028년부터 10년간 총 50.5GWh(기가와트시) 규모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하기 위한 계약을 맺었다. 또 미국 포드와도 총 109GWh 규모 전기 상용차 배터리 셀·모듈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특히 벤츠에서 신규 원통형 제품을, 포드에선 신규 니켈·코발트·망간(NCM) 파우치 제품을 각각 대규모로 수주하는 데 성공했다. 앞서 지난 7월에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대규모 공급계약을 르노와 체결하면서 중저가 배터리 시장으로 영향력을 넓혔다.
이 외에도 독일에서 열린 상용차 전시회 'IAA 트랜스포테이션 2024'에서는 세계 최초로 파우치형 고전압 미드니켈 셀투팩(CTP)을 선보이기도 했다.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는 ESS 사업 비중도 키우고 있다. 지난달 미국 에너지 전시회 'RE+'에서는 내년부터 미국에서 LFP 기반 ESS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겠다고 발표했다.
아울러 배터리 화재 예방책으로 주목받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배터리 생애주기 서비스(BaaS), 에너지 서비스(EaaS) 등을 신사업으로 적극 추진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