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가 울산과학기술원(UNIST)와 '선천 면역 제어를 통한 범용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공동연구를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는 지난 6월 유니스트 생명과학과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후속 공동연구로 선천 면역 센서 ZBP1을 타깃으로 하는 범용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에 착수하기로 했다.
이상준 유니스트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2022년부터 코로나-19 '염증폭풍'(Cytokine Storm) 현상의 작용 기전을 밝히고, 핵심 타깃인 선천 면역 센서 ZBP1의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해 왔다.
선천 면역 센서 ZBP1은 코로나-19의 원인 바이러스인 SARS-CoV-2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변종 바이러스에도 공통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ZBP1 타깃 선천 면역 치료제는 넥스트 팬데믹 항바이러스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는 물질 특허권이 확보된 신규 약물의 개발과 약효·약물성·안전성 최적화를 지원하고, 유니스트 생명과학과에서는 세포 및 동물에서 신물질들의 효능과 독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박인규 케이메디허브 전략기획본부장(이사장 직무대리)은 "범용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은 넥스트 팬데믹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치료제 자주권 확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며 "앞으로도 우리나라 혁신신약 개발의 가속화를 위해 계속적으로 연구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지지율 70% 육박…'여론조사꽃' 조사결과
'700조 선물 외교'에도 뒤통수 친 미국, 혈맹 맞나
대통령실 결단에 달린 'TK신공항 자금난'…대구시 '新 자금 계획' 예고
트럼프 "한국 배터리·조선 인력 불러들여 미국인 훈련시켜야"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